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겨울 추위 저장했다가 여름에 꺼낸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상대적으로 따듯한 축냉조의 온도 차이로 냉매에서는 기포자가진동 현상이 나타난다. 덕분에 외부동력 없이도 빠르게 진동하며 냉기를 축냉조로 전달한다. 축냉조의 단열손실률을 1년에 3% 미만으로 개선해 오랜 시간 냉기를 보관할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기존 열교환 기술보다 에너지 소비량은 ... ...
- [이달의 책] 누가 얼음의 위대함을 묻거든 몸을 돌려 편의점에 들어가라 외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황급히 올린다.삼각김밥은 김이 눅눅하지 않아 더 맛있다. 다 일본 발명가 스즈키 마코토 덕분이다. 과자 제조 기술자로 일했던 그는 비닐을 이용해 밥과 김을 분리해서 포장하는 기계를 발명했다. 이 기계 덕에, 김과 밥은 삼각김밥 포장을 뜯는 순간에서야 비로소 합체 한다. (이론적으론 이렇지만,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왼쪽으로 돌려? 오른쪽으로 돌려? 데굴데굴 구슬 미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바닥과 수평을 이루지 않고 비탈져 있어서 미로 속 쇠구슬이 비탈 아래로 굴러가거든요. 덕분에 쇠구슬에 직접 손을 대지 않아도 미로를 살살 회전시켜가며 구슬을 원하는 방향으로 굴려 이동시킬 수 있어요. 이때 미로의 바닥이자 수평으로 누운 톱니바퀴와 측면의 수직으로 된 톱니바퀴를 ... ...
- [SF 소설]톨리의 숲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톨리가 알아챌 수 있는 것도, 사이먼 같은 다람쥐들이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도 그 덕분이다. “어서 와!” 톨리는 예진이 104번 구역의 애니메이션 공주처럼 뻗친 손가락 위에 날아가 앉았다. 예진이 머리를 쓰다듬자 톨리는 꾸르륵거리는 소리를 냈다. “톨리, 안녕? 오늘은 사람이 없네? 좀 ... ...
- 지구에서 가장 무거운 동물의 뒤꿈치를 증명하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abm8280연구팀은 2019년 용각류 공룡 로에토사우루스 화석을 분석해 다육질의 연조직 패드 덕분에 용각류가 세상에서 가장 큰 공룡으로 진화할 수 있었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doi: 10.1002/jmor.20989 하지만 근육, 근막, 지방 같은 연조직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흔적이 남지 않아 당시 연구는 가설 수준에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폭우가 내리면 바닥이 수직으로 올라와 빗물을 막을 수 있는 차수벽이 설치돼 있습니다. 덕분에 도로가 잠겨도 주차장에서 차량 피해는 없었습니다. 서초구에서는 이처럼 지하 공간이 있는 건물을 신축할 때 차수판을 설치해야 건축허가를 내주도록 차수판 설치를 의무로 하고 있습니다. 집중호우에 ... ...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덕분에 중력에 의한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할 수 있게 됐습 니다. 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중력은 시공간의 곡률에 의해 나타난다는 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면서 우리는 중력을 더욱 잘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게 ... ...
- [5년 후, 과학은] 마법으로 되살아나는 꿈의 소재 트위스트로닉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다른 탄소 동소체에 비해 열전도도와 전기전도도가 높고, 안정성도 뛰어납니다. 덕분에 2000년대 후반부터 디스플레이나 배터리 등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그렇게 붙은 별명이 ‘꿈의 소재’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그 인기가 시들합니다. 이런 추세는 라이덴 ... ...
- [통합과학 교과서] B612 소행성의 진짜 위치는 어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안 돼요.”어린 왕자가 고개를 끄덕이며 미소를 지었어요.“감사합니다. 탐정님 덕분에 잘못된 길로 빠지지 않게 되었네요. 탐정님께서 말해주신 대로 무거운 천체의 뒤쪽으로 운전해서 가도록 설정을 해야겠어요.”어린 왕자가 우주선의 시동을 걸곤 손을 흔들며 날아 올랐죠. 꿀록 탐정과 개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온도와 같은 주변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각기관이기도 합니다. 세균은 편모 덕분에 물속에서 자기 몸길이의 30배가 넘는 거리를 1초 만에 헤엄칠 수 있어요. 편모를 초당 100~200회까지 비행기 프로펠러처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지요. 편모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생체분자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