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백
d라이브러리
"
분명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멍멍! 스케치북은 살아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도도한 표정의 검은 불독이 왕관을 쓰고 있어요! 무슨 대회에서 상이라도 받은 것일까요? 그 옆에는 주인으로 추정되는 손이 반짝이는 ... 친구들도 주변에 있는 사물을 이용해 재미있는 그림을 그리고 사진도 찍어 보세요.
분명
아무도 상상하지 못할 재미있는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헤어 디자이너 ‘ 자르고 보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다투고 있었다.“여기까지 와 주셨으니 썰렁홈즈의 탐정 실력은 믿어도 되겠어요.
분명
우리 중에 ‘자르고 보크리’를 납치한 진짜 범인이 있어요 썰렁홈즈.”“전 범인이 아니에요 썰렁홈즈. 제발 진짜 범인을 찾아내 주세요, 네?”혼란에 빠진 썰렁홈즈. 과연 진짜 범인은 누구일까?썰렁홈즈,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만약 친동생과 잘 모르는 사람이 동시에 물에 빠졌다고 가정해 보세요. 여러분은
분명
잘 모르는 사람보다 친동생을 먼저 도와 줄 거예요.이에 대해 현대 진화 이론 정리에 큰 공헌을 한 *홀데인은 이렇게 말했어요. “만약 내가 두 명의 내 형제를 구할 수 있다면 내가 희생되더라도 물에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여름이 되면 큰 소리로 노래를 하는 매미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곤충이에요. 그런데 최근 도시에서는 매미가 여름밤을 시끄럽게 만드는 불청객이 되고 말았어요 ... 가설도 검증해야 해요. 하지만 요즘 매미가 도시에서 요란한 게 우리 인간들의 활동 때문인 것만은
분명
한 사실이랍니다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끝없이 펼쳐지는 수평선을 따라 배가 한 척 지나가고 있어요. 바람을 받아 팽팽하게 펼쳐진 돛이 아주 멋지네요! 돛에 써 있는 네 개의 알파벳 ‘TARA(타라)’ ... 찾으러 갈 거야. 그 배에는 친구들도 타지 않을래? 친구들이라면
분명
더 멋진 플랑크톤을 찾을 수 있을 거야~ ... ...
방화범과 소방관 사이의 마무리 투수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무사 만루의 상황에서 멋지게 병살타를 잡아낸 선수는 동점을 내줘 세이브에 실패한다.
분명
후자가 더 뛰어난 활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그 구원 투수는 방화범이었을까, 소방수였을까이런 등판 상황에 따른 불합리함을 해결하기 위해 세이버매트리션들은 새로운 기록을 만들었다. 이름도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그렇게 청룡열차 같은 산악 트럭을 타고 도착한 짜잇티요의 골든락.정말로 놀라웠어요.
분명
바위의 중심이 앞으로 쏠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어떻게 떨어지지 않고 저렇게 우뚝 서 있을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지요. 바위 주변을 한 바퀴 돌아보고 몸을 낮추어 하단의 돌과 맞닿은 부분도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잃어버린 노트가 다시 세상의 빛을 보게 됐다.수학자들에게 라마누잔의 노트는
분명
이상해 보였겠지만 충분히 매력이 있었다. 학계에서 쓰지 않는 기호로 증명 없이 써 놓은 공식이 나중에 의미 있는 정확한 식으로 판명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라마누잔이 세상을 떠난 뒤 여러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드마니시 화석에서도 발견된다. 늙은데다 치아가 모두 빠져 제대로 씹을 수 없었음이
분명
한 드마니시 3444호 화석의 주인공은 (아마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오래 살았다. 이유 없이 이웃을 죽이는 얼굴도 인간이지만, 혼자 힘으로 살아내지 못하는 이웃을 보살피는 얼굴도 모두 똑같은 인간의 ... ...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정말 매력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학창시절에 이 실험을 해본 경험이 있다. 그들은 그 때
분명
웃고 있었을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 나는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우리들의 공통적인 호기심, 그리고 미래의 지구 에너지원에 대한 전세계적인 걱정을 말하고 싶었다.” 과일에서 뽑아낸 전기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