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 해롱 호는 곧바로 혜성의 위치를 향해 출발했습니다. 혜성이 가까워지자 희미하게 빛나는 꼬리가 달린 모습이 눈으로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루띠가 관측 장비로 혜성을 살펴봤습니다.“이 정도 크기면 아까 그 대륙은 흔적도 없이 날아가겠는데?”“그러면 아까 만난 나무들이 모두 죽는 ... ...
- [광고] MORRIS │ 마르지 않는 펜으로 그리는 친환경 세상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쓰더라도 펜 안에 남은 잉크 때문에 재활용은 할 수 없다.여기에서도 간단한 아이디어가 빛이 난다. 볼펜처럼 마커나 형광펜에서도 잉크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게 했다. 잉크를 다 썼다고 펜을 버릴 필요도 없고, 남은 잉크 때문에 재활용을 못하는 일도 없다.돌이켜보면 펜의 뚜껑도, 재활용을 할 ... ...
- [특집] 비눗방울이 깨질 때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연구해 그 비밀을 발표했어요. 깔때기로 만든 비눗방울의 아래쪽 반구에서 무지개 빛이 나타나다 비눗방울이 깨지기 1분 전부터 검은 반점이 여러 개 생기는 걸 확인했지요. 이 반점들이 합쳐져 충분히 커지면 비눗방울이 깨졌어요.연구팀은 무늬를 이용해 비누막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었어요. 이를 ...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에코미터를 동굴 안으로 뻗자, 박쥐의 콜이 간간이 잡혔다.“자 이제 10초간 모든 빛을 꺼볼 거예요”. 이후 용암동굴 안에서 모두가 불을 껐다. ‘칠흑 같은 어둠을 실제로 마주한다면 이곳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는 찰나, 대섭이굴 위 동백동산에서 스며든 물이 안전모에 떨어졌다. 시각이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중의 하나인 양자 얽힘을 활용하면, 이론적으로는 정보를 빛보다 빨리 전송할 수 있다.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다는 증명으로 세상을 바꾼 아인슈타인이 ‘유령 같은 원거리 작용’이라며 대경실색할 만했다. 물론 아인슈타인 같은 사람들은 앞으로 넘어져도 양자 도약을 하는 사람들이라, 그가 말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안드로메다를 구해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환자 구출과 민간인 보호를 위해 스타링크가 나섰지요. 재난과 전쟁에서 인공위성이 빛을 발한 거예요.한편, 수많은 스타링크 위성들은 우주 관측을 방해하고 폐인공위성이 되면 우주 쓰레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위성 사진이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도 있죠. 인공위성의 ... ...
- [특집] 후후 불어서 펑! 터질 때까지 비눗방울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나는 비눗방울을 좋아하는 ‘무지개굴’이야. 이름처럼 무지개빛 비눗방울을 만들며 노는 걸 즐기지. 그런데 말야, 과학자들도 나처럼 비눗방울 놀이를 즐긴다는 거 알아? 비눗방울 탄생부터 죽음까지 모든 과정에 ‘진심’인 과학자들의 이야기, 지금부터 들려줄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4컷 만화] 몸속에 숨은 미세플라스틱, 빛으로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진동수의 빛에만 반응하거든요. 미세플라스틱이 어떤 진동수의 빛에 반응하는지 알고 그 빛을 쏘면 미세플라스틱을 구분할 수 있죠. 이를 ‘다색 CARS 이미징 기술’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인간의 뼈세포에 미세플라스틱을 흡수시켜 다색 CARS 이미징 기술로 관찰했어요. 그랬더니 ...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커지고, 짧은 거리의 두 물체를 구분하는 해상도가 좋아진다. 더 먼 곳에서, 더 어두운 빛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거대한 우주망원경을 만들어 우주로 쏘아 올리려면 오랜 시간과 많은 돈이 필요하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100억 달러(한화 약 12조 78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이 ... ...
- [과학뉴스] 산호초와 말미잘, 선크림 기능을 반대로 사용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사실을 발견했다. 일반적으로 당은 해독에 쓰이지만, 옥시벤존-글루코시드 화합물은 빛을 받아 활성화되는 독성 물질이다. 해독을 목적으로 한 대사 과정이 오히려 독소를 만들고 있는 셈이다. 한편 산호나 말미잘의 공생조류가 숙주를 보호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조류를 이용한 실험에서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