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성"(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 태양계 운동 지배하는 뉴턴·케플러 법칙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중에서 가장 긴 타원궤도를 도는 것이 수성인데, 그 수성도 긴 반지름이 짧은 반지름보다 2% 정도 밖에 길지 않다고 한다. 따라서 정밀한 계산이 아니라면 행성의 운동은 원운동이라고 가정해도 될 것이다.그러나 핼리혜성과 같이 주기적으로 출현하는 혜성들은 그 ...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주위를 돌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림2).[생각해 보기] 금성의 최대 이각에 비해 수성의 최대 이각이 작은 이유를 공전 궤도와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갈릴레오와 망원경천문학자로서의 갈릴레이는 태양계에 대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체제를 그대로 받아 들이는 대신 자기가 직접 망원경으로 ... ...
- 화학 - 유리잔 속 마술 단풍 놀이과학동아 l1994년 09호
- 목공용 본드 1/4 숟가락을 혼합한다.③ 예쁜 유리잔에 ① 용액을 담고 단풍 색깔의 수성 물감을 타준다. 그리고 ② 용액을 빨대를 이용해서 몇방울 떨어뜨려 준다.자! 이제는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 보는 일만 남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물이 증발되면 유리잔 벽에 반짝반짝 비늘같은 결정들이 ... ...
- 목성고별관측 - 혜성충돌자국선명과학동아 l1994년 09호
- 다행인 것은 근처에 밝은 금성이 있다는 것이다. 금성과 수성의 적경 적위 값을 이용하여 수성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이용하여 확인해보라.붉은 행성, 화성의 출현자정을 넘어서면서 가을철을 대표하는 사각형이 천정으로 자리를 옮길 때쯤이면 동쪽 지평선 위에는 ... ...
- 지구과학- 생물탄생 이래 불변-대기온도의 미스터리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담요로 덮여 있어 비교적 기온이 높은 채로 복사평형이 이루어져 있다. 이런 예로 금성은 수성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나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표면 온도는 4백70℃ 정도로 태양계내 행성중 가장 높다.지구대기의 상한에서 태양빛에 수직으로 놓인 단위 면적에 ... ...
-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무척 빠르기 때문에 우리가 쉽게 행성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이다. 내행성인 수성과 금성의 움직임은 화성보다 빠르지만 이것들은 지평선 근처에 머무르기 때문에 일반 별들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잘 느끼지 못한다.반면에 화성은 움직임의 속도가 빠르면서 외행성이라는 장점 때문에 ... ...
- (1) '외계물체 충돌'이 천지 창조했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보듯 지구와 달은 비슷한 생성과정을 겪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충돌 전의 수성은 밀도가 낮고 외곽 지역은 규소(Si)가 많이 포함된 암석으로 되어 있었는데 충돌 후 이 외곽지역이 다 날아가 버리고 중심에 철을 많이 포함한 암석만 남게 되었다는 시나리오다.이렇게 천지가 개벽하는 듯한 충돌에 ...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그림 4). 여기서 근접이란 0.2AU(약 3천만㎞) 이내를 의미한다. 1백년 내에 최접근 거리는 수성이 0.032AU, 금성이 0.008AU, 지구가 0.007AU, 화성이 0.029AU로 나타났다. 이 결과만 보면 지구는 소행성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이는 이미 인류에 의해 궤도가 확실히 밝혀진 소행성에 대한 조사일 ...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볼 생각은 버려라. 일단 쌍안경이나 파인더를 이용해 찾은 다음 다시 그 위치를 주시하면 수성이 어렴풋이 보일 것이다. 망원경을 이용해 1백배 이상의 배율상태에서 보게 되면 아주 작은 하현달 모양을 하고 있을 것이다.■ 사라져가는 토성의 고리이제 토성을 저녁하늘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이달 ... ...
- 우주 팽창·수축의 열쇠, 암흑물질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실제로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는 행성들의 공전속도는 외행성쪽으로 갈수록 느려진다(수성 48km/초, 지구30km/초, 토성 10km/초, 명왕성 4.7km/초). 오르트의 주장 이전에도 이러한 현상은 관측됐다. 안드로메다은하 내의 별들이 움직이는 속도도 은하핵에서 멀어질수록 줄어들지 않았던 것이다.한편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