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료"(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0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답니다. 규제가 시행될 때를 대비해 전세계는 지금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면서 운항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어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전기로 움직이는 자율운항선박 ‘야라 버클랜드호’예요. 야라 버클랜드호는 노르웨이 농업회사 야라 인터내셔널과 선박 ... ...
-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0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외계 행성 탐사에 나섰던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연료가 바닥나 영원히 잠들 거라고 발표했어요. 케플러는 NASA가 2009년 발사한 첫 번째 외계 행성 탐사용 우주망원경이에요. 케플러는 행성이 공전하면서 별 앞을 지나갈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 차이를 측정해 외계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만드는 걸까요? 달은 지구 중력의 1/6밖에 되지 않아서 로켓이 이륙하는 데에 필요한 연료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에요. 여기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건 ‘딥 스페이스 트랜스포트’랍니다.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에서 화성으로 향하는 우주선으로, 우주인을 화성에 데려다 준 뒤엔 다시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미렐라 디로렌조 박사팀은 지난 2016년 오줌을 넣으면 세균이 반응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개발하기도 했답니다. ● 스토리 “으악, 아무래도 아저씨를 따라잡긴 어렵겠어.” “어떻게 해야 하지?” 그때였어요. ‘우르르 쾅쾅!’ 천둥소리가 크게 나면서 아저씨가 탄 차에서 이상한 ... ...
- Part 1. 빈집 위기에 처한 ISS?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발사 로켓에 이상이 생겼거든요. 발사 로켓이 이륙할 때엔 무게를 줄이기 위해 다 쓴 연료통을 분리시키면서 날아가는데, 이 과정에서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나머지 로켓의 일부가 파손된 거예요. 이상이 생김과 동시에 우주인들은 비상탈출을 시도했고, 다행히 두 우주인 모두 무사히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를 시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순으로 분류하지요. 각 성분은 생활용품으로 만들어지거나, 자동차나 난방을 하는 연료로 사용되는 등 쓰임새가 다양하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 긴급! 저유소 화재 발생! 지난 10월 7일,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 마포구 지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어요.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있으니 인근 ... ...
- 블루카본이 도대체 뭐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블랙카본은 석탄, 석유 등 땅속의 화석연료에 들어있는 탄소예요. 인류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면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대기로 배출되면서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지요. 반대로 생태계는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기도 해요. 그린카본은 육상 생태계가 흡수한 탄소로, 열대우림과 침엽수립의 나무에 ... ...
- Part 2. 바다에서 폭풍을 기다린다! 웨이브 글라이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무인보트예요. 태양광과 파도의 움직임으로부터 전기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별다른 연료 공급 없이도 3개월 이상 태풍을 쫓을 수 있지요. 3m 길이의 납작한 몸체가 물위에 떠 있고, 그로부터 8m 아래엔 2m 길이의 잠수 기기가 물에 잠긴 채 함께 움직인답니다. 이런 모양 덕분에 웨이브 글라이더는 ...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 ‘돈(Dawn)’이 영원한 작별을 고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돈이 연료 고갈로 10월 31일과 11월 1일에 예정됐던 교신을 하지 못했다고 11월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2007년 9월 발사된 돈은 11년 동안 소행성을 탐사했다. 돈이 항해한 거리는 총 69억km다. 돈은 2011년 7월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스페이스솔루션이 제작한 로켓용 밸브를 사용했다. 하이브리드 로켓은 산화제를 공급해 연료의 연소를 조절하는 방식이어서 이를 조절하는 밸브는 로켓의 핵심 부품이다. 액체 과산화수소를 보관하는 산화제 탱크 역시 국내 기업인 이노컴의 탄소섬유 탱크를 사용했다. 권 교수는 “탄소섬유 탱크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