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장
자계
d라이브러리
"
자기장
"(으)로 총 1,058건 검색되었습니다.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둔다”고 답했다. 사람도 나침반이 흔들거리면 방향을 잘 못 잡지 않던가. 문제는 지구
자기장
이 안정돼 있을 때가 낮 시간의 20%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왜 개들이 동서방향은 피하고 하필 남북방향으로 몸을 두는 걸까. 연구진은 “아직 모르겠다”고 밝혔다. 이그노벨상을 받으려면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얽힐지는 외부
자기장
의 방향에 의존한다. 따라서 A와 B의 생성 비율을 보면 지구
자기장
방향을 알 수 있다. 철새의 눈에 양자나침반이 들어있는 셈이다. 하지만 살아있는 새에서 이뤄진 실험이 아니기에 아직 논란이 있다. 인류는 양자생명체로 진화할까1989년 로저 펜로즈는 ‘황제의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갑자기 이동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렌네 교수는 “자기역전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지구의
자기장
세기가 약해져 우주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를 막지 못한다”며 “생명체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자기역전이 이렇게 빨리 일어나면 생명체가 받는 악영향도 줄어들 수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지나는지 알기 위해 각각의 구멍 옆에 작은 장치를 준비한다. 전자가 지나면서 만드는
자기장
을 검출하여 불을 켜는 장치다. 전자가 오른쪽을 지나면 붉은색, 왼쪽을 지나 면 푸른색이 들어온다고 하자. 우주 전체가 유니타리 진행을 한다면 전자는 동시에 두 개의 구멍을 지나게 된다. 이 때 측정을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해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 기술이다. 이온을 말 그대로 새장 속의 새처럼 허공(사실은
자기장
과 레이저 등으로 만든 정교한 공간)에 가두기 때문이다. 더구나, 믿기 어렵겠지만 큐비트를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기자는 큐비트를 확인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경기 분당으로 향했다. SK텔레콤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뇌전도’와 뇌에서 발생한
자기장
을 측정하는 ‘뇌자도’를 이용한다.특히 뇌전도는 빠르게 변화하는 뇌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BCI 기술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는?BCI 기술은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발생하고 있지만, 간간히 작은 흰 점이 있을 뿐 뚜렷한 스월이 관측되지 않는다. 만약
자기장
차폐 현상이 스월의 원인이라면 이 지역의 밝은 점도 스월이어야 한다. 하지만 연구진은 아직까지는 스월로 볼 수 있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달 표면에 있는 먼지에 대한 연구도 많이 나왔다.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세 가닥 들어있어 공이 골대를 통과하면 자 기장 간섭이 일어난다. 이때 일어나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해 0.5초 안에 심판에게 신호를 전달한다.카이로스는 골레프와 비슷한 원리인데 구리코일이 아니라 마이크로칩을 공에 심는다. 카이로스와 골레 프 모두 설치비용이 싸고 설치가 쉽다. 또 골문 앞에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개발될 당시 전자의 운동 방정식은 1925년 쯤에 슈뢰딩거에 의해서 처음 기술되었다. 이후
자기장
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면서 전자의 내부 스핀을 감안한 파울리 방정식으로 곧 승격됐고(1927년), 바로 그 다음해에 상대성이론의 효과를 감안한 섬세한 방정식을 캠브리지 대학의 폴 디랙이 발견했다.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놓인 전자의 전기전도도는 외부
자기장
의 크기에 따라 역시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강한
자기장
과 전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를 양자홀 효과라고 한다. 1985년 폰 클리칭, 1998년 로버트 러플린 등이 이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러플린은 2004년부터 2년간 카이스트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