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기"(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유명한 줄기세포연구소를 보면 다양한 학과에서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줄기세포 전반에 대한 연구를 합니다. 그런데 CiRA는 오직 iPS세포 연구만을 위해 2010년 4월 설립됐습니다. 연구소장인 야마나카 교수를 중심으로 32개 연구그룹 약 300명의 연구원들이 모여 있습니다.iPS세포 연구도 종류가 ... ...
-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했다. 리프로그래밍은 체세포 등이 다른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로 되돌아가는 특성이다. 근섬유아세포는 흉터를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로 지금까지 포유류의 피부에서 이런 현상이 발견된 적은 없었다.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은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회자되는 분야 중 하나로, 예측할 수 없는 흐름을 다룬다. 수도꼭지를 살짝 틀면 얇은 물줄기가 흘러나오는데, 이건 예측이 가능한 흐름이다. 하지만 이를 세게 틀면 물이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운동을 하며 뿜어져 나온다. 다상 난류 운동은 두 개 이상의 상이 동시에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을 보이는 ... ...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달라진다. 과학자들은 바이러스 종류가 달라도 유전적 변이가 거의 없는 H단백질의 줄기 부분을 공략해 감염을 막는 ‘범용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4파트에서 확인!)K박사는 오늘도 엄청나게 재미없는 얘기를 쉴 새 없이 쏟아내고 있다. 그런데 지난 10년을 바이러스 얘기만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은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것으로 바꿨다.각기 다른 키메라 HA를 연달아 백신으로 맞으면,염기서열이 동일한 줄기 부분에 대해서 면역반응이 점점 강해진다.현재 이런 범용 백신 후보물질들은 실험을 통해 다양한 아형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막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연구개발 단계다. 아무리 실험에서 만능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알아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예컨대 최 교수팀이 준 로봇이 배양액 속을 떠다녀서 줄기세포를 넣기 어려운 상황을 유 교수팀에서 빨리 공유하지 않았다면, 최 교수팀은 그 사실을 놓친 채 다음 단계 연구를 하고 있었을 수 있다. 유 교수는 “연구 진행 상황과 의견을 수시로 교환했던 것이 도움이 ... ...
- [과학뉴스] 깃털 달린 공룡 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흔적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답니다.또한 꼬리의 깃털에는 ‘우축’이라고 불리는 깃털 줄기가 있는데, 그 폭이 60μm(μm=100만 분의 1m) 정도로 현재 조류보다 좁았어요. 이렇게 우축의 폭이 좁으면 충분히 튼튼하지 않아 날아다니기에 적합하지 않지요.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호박 속에서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것과 같은 원리지요.크기가 작은 나무는 낙엽, 짚, 나무 조각 등을 긁어모아 땅과 줄기가 만나는 부분을 덮어 줘요. 그러면 이렇게 덮은 부분이 썩으면서 따뜻한 열기를 내어 나무를 보호하지요. 이보다 약한 초본식물은 낙엽, 짚 등을 덮고 그 위를 비닐로 고정하거나, 아예 화분에 담아 실내로 옮겨 ... ...
- [과학뉴스] 콜레라에 취약한 혈액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잘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요.한편 미국 워싱턴의대 제임스 플레켄슈타인 교수팀은 줄기세포로 소장 조직을 만들고, 혈액형 별로 콜레라균에 의한 독소물질 생산량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O형에서 독소물질이 가장 잘 만들어지는 걸로 나타났답니다.플레켄슈타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옥신이 많이 생겨나면서 쑥쑥 자라나 점차 서쪽을 향하게 되는 거예요. 반면 밤 동안에는 줄기의 서쪽 부분에 옥신이 많이 생겨 방향이 다시 동쪽으로 바뀌지요.하지만 다 자라서 꽃이 활짝 핀 해바라기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동쪽만을 향하고 있었어요. 연구팀은 그 이유가 최대한 많은 햇빛을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