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무지개 라이더스 단원들은 시무룩한 표정으로 꿀록 탐정을 바라봤어요.“시야의 특정 각도에서만 무지개가 보인다는 건, 우리가 아무리 자전거를 밟아도 무지개의 끝을 잡을 수 없다는 거네요. 우리가 움직이는 만큼 무지개도 움직일 테니깐요.”꿀록 탐정은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어요.“하지만 ... ...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은밀하고 위험한 폭력, 혐오 표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표현이 대표적이죠. 이처럼 나이를 비롯해 성별, 인종, 종교, 개인적 취향 등을 이유로 특정 계층이나 집단을 차별하거나 조롱하는 표현을 ‘혐오 표현’이라고 해요.혐오 표현은 이웃 간의 화합이나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 악성 바이러스와 같아요. 피해자에게 큰 고통을 줄 수 있으며, 차별하는 ... ...
- [기획] 여름에 더 강해지는 악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티오알코올’을 만드는 핵심 세균이라는 걸 알아냈지요. 이후 이 세균만이 갖고 있는 특정 효소를 발견했는데, 이 효소를 따로 분리해 땀 냄새와 관련 없는 세균의 몸에 넣어 봤더니, 똑같이 티오알코올을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음식물 쓰레기, 최대 고비는 고기 부패 사흘째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플레이어가 움직이면 저절로 꽃이 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월드를 만들 때 블록을 부수고 지형을 정리하는 힘든 일을 해야 해요. ‘플레이어’가 특정 행동을 할 때마다 이런 일이 자동으로 실행되게 만들면 어떨까요? 험난한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탐험하고 생존해가는 주인공인 ‘플레이어’로 편하게 게임해 봐요! 첫 번째 주변 블록, 저절로 정리된다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달 30일엔 박쥐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겨울잠을 자는 동굴 입구에서 원을 그리며 집단 비행을 하거든요. 또, 일부 박쥐는 특정 장소에서 원을 그리며 날면서 먹이 또는 구애 활동을 하지요. 그래서 매달 30일을 박쥐 탐사일로 정했답니다~! 질문4박쥐 탐사를 통해 어떤 탐사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도시에서 박쥐가 활동하는 장소를 ... ...
- [가상 인터뷰]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에서 번식 시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초기 환자는 감염되지 않은 사람과 달리 코 속 섬모세포에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특정 수용체 단백질이 모여 있었어.다른 곳은 없었던 거야?응. 지금까지 주요 감염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졌던 기도의 점액분비세포와 입속 상피세포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이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코딩 친구 '에이전트'로 편하게 게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확인한 뒤 채팅명령어 ‘2’를 실행하세요. 잠깐! ‘선택 실행문’이 무엇이죠?특정 조건에 따라 명령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조건문’ 또는 ‘If문’이라고도 부르기도 해요. 반복문과 함께 코드를 작성할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이랍니다. 세번째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탈중앙화, 확장성, 보안성)을 한 번에 충족시킬 수 없는 딜레마를 갖고 있다고 말했어요.특정 소수의 사람이 거래 장부를 통제하지 않고 다수가 관리하는 암호화폐의 특성(탈중앙화)은 큰 장점이지만, 거래 참여자가 많아지면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어요. 그럼 일을 처리하는 능력(확장성)이 ... ...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있어요.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블록에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원하는 데이터만 특정 기업이 열어볼 수 있도록 직접 관리할 수 있어요. 또, 사람들은 블록에 저장시킨 데이터를 기업에 제한적으로 제공하며, 거래할 수 있게 되죠. ●데이터 주권 : 데이터의 주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 ...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모습에 대해 고찰하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방대한 연구를 했어요. 지금처럼 과학자가 특정 분야의 연구만 하기 전 시대이기 때문에 가능했죠.그중 가장 잘 알려진 연구는 미적분법의 발명이에요. 그는 1673년, 미분 공식을 확립해 발표했어요. 그런데 이 소식을 들은 뉴턴이 미분의 첫 발명자는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