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d라이브러리
"
필름
"(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방사선은 어떤 종류의 금속이든 불투명한 물질을 투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사선원과
필름
사이에 피사체를 두고 피사체에 따라 방사선원을 택해 그 내부구조를 사진찍을 수 있다여러가지 화학적 변화로 식품에 변질 또는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 · 효소 등을 사멸 또는 불활화시키는 처치 주로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21세 때 겐드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가르쳤다 1889년 미국의 초청을 받아 사진
필름
인화지 제조회사에서 2년 동안 연구했다 작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발명했다측정눈금판의 길이 약 30cm 부분에 5℃의 온도 간격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지금도 한국 애니메이션의 향방을 이야기할 때 중요한 키워드로 읽힌다. 얼마전 ‘
필름
2.0’의 한국인이 사랑하는 로봇 20선 조사에서 태권V는 당당하게 1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아기공룡 둘리’와 ‘로보트 태권V’가 선정된 것은 많은 이들이 태권V를 한국인의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로봇의 정확한 규격이 필요했다. 방대한 자료를 갖고 있는 태권V 팬클럽과 1976년
필름
을 복원한 영화진흥위원회, 새로운 태권V 시리즈를 준비하고 있는 영화사 신씨네 사람들에게 정보를 얻었다.가장 기본이 되는 태권V의 키에 대해서는 20~100m까지 다양한 설이 있었다. 우리는 김청기 감독이 주장한 ... ...
1. 반갑다, 태권로보트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처리하는 날도 있었지만 5~6프레임 밖에 나가지 못한 날도 많았어요.”이렇게 처리된
필름
정보량은 1테라(1조=${10}^{12}$)바이트. 요즘 흔히 컴퓨터에 들어가는 70기가바이트 하드디스크 15개에 달하는 분량이다. 10만8852프레임, 1170컷에 달한다. 디지털 복원작업이 시작된 지 꼭 1년만의 일이었다.작업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히드로퀴논을 넣어 05mm 정도 두께로 칠하여 접착시켜 감광층을 만든다 네거티브
필름
을 밀착, 감광한 다음 현상액으로 씻어내고 건조시키면 미감광부가 용해되어 볼록판 인쇄용 볼록화상이 생긴다 내쇄력이 좋아 볼록판 윤전인쇄에 사용된다 대류권(對流圈)과 성층권(成層圈) 사이에서 적어도 한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방출, 산란하는 빛을 측정해 분자의 활동을 초고속으로 촬영한다.1초 동안 찍을 수 있는
필름
의 수가 늘어날수록 순간을 더 잘게 쪼개 엿가락처럼 길게 늘여서 볼 수 있듯이 초고속 레이저 분광기의 레이저 펄스가 짧을수록 분자의 운동이나 반응의 진행 과정을 슬로비디오처럼 볼 수 있다. 김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뚜껑의 구멍으로 음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유는 구멍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필름
통 내부의 진동이 달라지기 때문이랍니다. 구멍을 많이 열면 높은 음이, 적게 열면 낮은 음이 나지요.소리를듣자친구들은 소리를 어디로 듣나요? 눈이나 코, 입으로 듣지는 않아요. 바로 귀를 통해서 소리를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시트 및
필름
등을 고주파 유전가열(誘電加熱)로 연속 용착(溶着)시키는 장치 염화비닐
필름
또는 플라스틱 시트를 두 전극(雷極) 사이에 넣고 고주파 전압을 가하면 플라스틱 속에서 생기는 고주파 전기장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고주파회로에 쓰이는 절연물 직류전압에 대한 저항 외에 유전손실도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나머지 시상핵이 닫혀서 통증신호가 뇌로 전달되지 못한 겁니다. 시상핵은 술에 취해 ‘
필름
이 끊긴’ 경우나 잠을 자고 있을 때도 닫히죠.”200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일하던 그는 세포 내 이온 통로인 ‘T형 칼슘 채널’이 의식 차단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생쥐에서 T형 칼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