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어디서나 함께 음악을~♪ 블루투스 스피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직접 흐르지 않아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통신을 말해요. 1896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무선전신기를 발명해, 전파를 발생시켰다 멈췄다 하며 모스 부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에 성공했어요. 이것이 무선 통신의 시작이에요. 덕분에 선으로 연결될 수 없는 배나 비행기도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반입자가 생성된다면 어떨까. 만약 이 중 하나만 블랙홀 안으로 빨려들어 간다면? 과학자들은 만약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 입자와 반입자가 생성될 경우 블랙홀 안에는 음의 에너지를 가지는 입자만 흡수될 거라고 예상한다. 그 결과 시간이 흐르고 나면 블랙홀 안에는 음의 에너지를 가지는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시작했지만, 많은 시민과학자를 만나면서 삶이 풍성해졌다”고 회고했다. 참여한 시민과학자들의 생각이 바뀐 것은 물론이다. 지구사랑탐사대를 운영하는 하정주 동아사이언스 시민과학파트 매니저는 탐사 활동에 참여하는 어른과 어린이들이 자연에 관심을 기울이며 생태 감수성을 일깨울 수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IPMU)에서 연구했으며 2010년 일본 소립자물리학회가 수여하는 젊은 이론입자 물리학자 상을 받았다. 우주선과 암흑물질, 초기 우주의 힉스 인플레이션을 연구하며, 궁극의 물리학 이론을 찾고 있다. sc.park@yonsei.ac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기술을 다른 세포에도 적용해 본다면 수명의 연장도 기대해 볼 수 있겠죠? NASA 과학자가 인류에게 전하는 말? 조회수 : 5.1만 회채널명 : 김지윤의 지식Play (구독자 수 : 58.5만 명)NASA에서 일한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요?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는 것은요? 인류의 큰 도약을 이끌었던 NASA의 업적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자유 진동’이 곳곳에서 관측될 정도였죠.최초의 지진 감지계는 132년, 중국 천문학자 장흥의 손에서 처음 만들어졌는데, 어떻게 연구팀은 수천년 전 규모 9.5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을까요? 연구팀은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사막에서 발견된 해저퇴적물과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거대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윔프(WIMP)를 찾는 COSINE(코사인)-200 실험이 두 구역에 걸쳐 진행된다. 윔프는 이론물리학자인 이휘소 박사가 스티븐 와인버그와 함께 제안한 입자이기도 하다. 국내에선 1999년부터 이 박사의 후예들이 윔프를 탐색하고 있다.윔프를 탐색하는 국내 지하실험실은 예미랩 이전에도 있었다. COSINE-200의 ... ...
- 2022 노벨 물리학상 I 벨 부등식 위배 입증 양자역학 논쟁을 끝내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방법으로도 설명할 수 있는 허점을 남겼다. 2015년에 와서야 핸슨 등 네덜란드 델프트대 과학자들에 의해 주요 허점들이 충분히 보완된 벨 부등식의 위배 실험이 이뤄졌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대의 안톤 차일링거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사에우 남 등에 의해 광자쌍을 이용한 ‘허점 없는’ ... ...
- 2022 노벨생리의학상 I 인류 진화의 비밀 밝힐 타임머신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불확실성이 높다. 형태가 진화하는 방식과 속도는 변동이 심하기 때문이다. 계통분류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코자 현생 생물종의 계통분류 연구에 DNA 염기서열을 활용했다. DNA 염기서열은 시간에 비례해 일정한 속도로 변하며, 이를 설명하는 정교한 집단유전학 수리 모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19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3화. 영국의 스타 수학자, 마커스 드 사토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에서 대칭과 관련이 깊은 수학 연구 분야인 ‘군론’을 연구하고 있는 이승재 박사후연구원입니다. 오늘은 저를 수학자로 이끌어 ... 생기면 좋겠어요! 저는 교수님 같은 수학자가 되고 싶은 꿈을 가진 채 계속해서 열심히 소통하는 수학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