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있을지 모를 석유와 해양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당시
해저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해저
기지가 건설되며 이를 보호하는 로보트 태권V가 나오는 시리즈 제3탄 ‘수중특공대’에서 당시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이렇듯 ‘로보트 태권V’는 한국 애니메이션 역사를 함께 한 작품임과 동시에 산업 ... ...
노다지 꿈꾸는 북한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일대에 50억~60억 배럴 규모의 석유가 매장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해 12월 북한과
해저
유전 공동개발을 위한 협정을 맺었다. 무산 철광 투자에 이은 두 번째 북-중 공동 개발 사업이다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북부의 단열대 동부는 하나의 산맥으로 이루어지고 남쪽은 남쪽으로 면한 멘도시노
해저
애(海底崖)를 따라 북쪽보다 1,000m 이상 깊다서부는 두개의 산맥이 가파른 면을 마주하고 그 사이에 주상분지(舟狀益地)와 산맥 등의 기복이 나타난다 뇌하수체 중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흑색소포자극 ... ...
2. 거대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장점은 로봇이 낼 수 있는 어마어마한 힘이다. 인간이 우주 식민지를 건설하고 깊은
해저
나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는 시대가 오면 인간의 노동력을 대신해 구조물을 지을 거대로봇이 필요할 것이다. 또 생화학전이나 핵전쟁에서 엄청난 파괴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전을 펼칠 수 있는 거대로봇은 ... ...
기획5. 깊은 바닷속은 잔잔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배가 수면을 흔들어 그 움직임이 아래로 전달되거나, 잔잔히 흐르던 물이 해령 같은
해저
지형을 만나 부딪쳐 흔들리면 내부파가 생긴다. 내부파가 지나가다가 큰 규모의 해류를 만나면 부서지기도 한다. 마치 파도가 해변에 도달한 다음 부서지는 것처럼 말이다.침몰한 잠수함은 잠수할 수 있는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대륙의 연변지역 F 셰퍼드에 의해 명명된 남캘리포니아 앞바다나 일본 동북쪽 앞바다의
해저
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남캘리포니아 앞바다에는 많은 해분(海盆)과 섬 · 뱅크(bank)가 북서~남동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그 바깥쪽에 대륙사면이 있다 지구의 각 대륙이 오랜 지질시대에 대규모로 이동하여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아벨, 1826) 대륙간의 전기통신을 위해
해저
에 시설하는 케이블 이러한
해저
케이블은
해저
의 높은 수압이나 바닷물에 의한 부식에서 보호하고 부설수리공사 같은 외적 작용에 견딜 수 있도록 일반 육상 케이블과는 다른 재료 · 구조가 요구된다 독일의 자연과학사가(史家) F 다네만의 저서 l920~23년에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교수는 “로봇 물고기가 미래에 무인 잠수정을 대체할 강력한 후보”라고 설명했다.특히
해저
바닥에 묻힌 수중 기뢰를 탐지하는 등 군사 목적으로는 로봇 물고기가 적격이다. 요즘 수중 기뢰는 바닥에 묻혀 있어 배나 잠수함의 음파 탐지기만으로는 찾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로피도 한반도 해역에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없습니다.다산기지에서는 어떤 연구 활동이 이뤄지나요?다이빙팀이 해양 생물이나
해저
토양을 채집해서 돌아오면 실험 분야에 따라 다양한 작업이 이뤄진답니다. 우리 연구팀에서는 북극에서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을 분석 하여 차가운 물 속에서도 얼지 않고 견디게 하는 단백질을 연구하고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충돌하면서 단층에 균열이 생겨 발생했습니다. 화산이나 지진, 단층활동 등
해저
에서 일어난 급격한 지각변동으로 해일이 생기는 현상이 바로 쓰나미랍니다. 현재의 과학기술로 지진이 언제 발생할지 알기는 어렵지만 먼 거리에서 생긴 쓰나미의 경우 도착시간을 예측할 수 있어요. 가령 지진이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