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뉴스
"
공개
"(으)로 총 10,406건 검색되었습니다.
첨가제 하나만으로 리튬 금속 전지 수명 7배 연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3월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에
공개
됐다. 리튬 금속 음극은 현재 널리 사용되는 흑연 음극보다 에너지 용량이 이론상 10배 이상 크다.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이 음극에서 불규칙한 나뭇가지처럼 뾰족하게 자라나는 덴드라이트 현상이 ... ...
[과기원NOW] GIST 강지승 박사, 만 27세로 고려대 최연소 조교수 임용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3일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공개
됐다. 이황화몰리브덴은 반도체 칩의 집적도를 높이고 누설 전류를 잡을 수 있어 관심받는 소재다. 연구팀은 펜타플로로벤젠티올(PFBT)이라는 물질로 이황화몰리브덴을 칩에 집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 ...
"청년들, 자기 전 1시간 스마트폰 보면 불면증 위험 59%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31일 국제학술지 '정신의학 프론티어스'에
공개
했다. 수면은 신체와 정신 건강에 모두 중요하지만 현대인들은 수면을 충분히 취하지 못하는 수면장애 문제를 흔히 겪는다. 침대에서 잠들기 전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습관이 수면 장애와 관련 ... ...
韓 주도 연구팀, 45년만에 은하단 진화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3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공개
됐다. 은하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나선팔이 보이는 원반 모양의 나선은하, 나선팔이 보이지 않는 타원은하, 나선은하와 타원은하의 중간 형태인 렌즈은하로 구분된다. 지구가 있는 우리은하는 나선은하다. ... ...
화장품 꽃향기 내는 천연향료 '시트로넬롤' 과노출시 신경독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24일 국제학술지 '유해물질 저널'에
공개
됐다. 시트로넬롤은 장미, 제라늄, 시트로넬라와 같은 식물에서 추출되는 천연 향료 성분이다. 그동안 향기를 내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비교적 안전한 성분으로 여겨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일반적으로 ... ...
망막질환으로 손상된 시력, 신경 재생으로 회복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치료법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
했다고 30일 밝혔다. 고령화 등으로 전세계 망막질환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망막과 시력을 모두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은 부재한 상황이다. 병증을 억제할 수 있지만 이미 손상된 시력을 회복하는 ... ...
안경 없이 온전한 3D 디스플레이 나올까…RGB 구현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연구결과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공개
됐다. 2차원(2D) 디스플레이는 현실의 3차원 입체감을 온전히 전달하기 어렵다. 평면에서 입체감을 구현하기 위해 특수 안경과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가 도입됐지만 불편하거나 눈에 피로감을 준다는 한계가 ... ...
데이터 부족한 단백질구조 예측 AI 알파폴드…제약사들 자체 AI 구축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알쿠라이시 교수 연구팀은 새 모델의 예측 결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분석 결과를
공개
할 예정이다. 그는 “결과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이번 실험은 AI 기반 약물 개발 데이터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134억 년 전 빛에서 우주 암흑기 끝낸 증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8
끝낸 재이온화 신호를 감지하고 연구 결과를 26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
했다. 빅뱅 이후 우주는 매우 뜨거웠다. 이 때문에 에너지가 커진 물질은 양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음전하(-)를 띠는 전자가 분리된 '이온화' 상태였다. 이후 우주가 식으면서 전자와 양성자가 결합해 ... ...
번개 맞으면 더 잘사는 나무…"주변 나무 감전시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뉴 피톨로지스트'에
공개
했다. 열대림에서는 서늘하고 건조한 지역과 달리 나무에 번개가 떨어져도 불이 잘 붙지 않는다. 하지만 번개에 맞은 나무는 수백만 볼트의 강력한 전기 때문에 나무에 있던 물이 고온으로 가열되며 잎과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