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45건 검색되었습니다.
QS 대학평가 제외된 KAIST "내부 감사…윤리경영특별위원회 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앞으로도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KAIST는 메일이 논란이 되자 생명화학
공학
과에서 메일을 보낸 다음 날 메일 내용을 정정하고 사과를 하는 내용이 담긴 메일을 즉시 전송했다. 지난 1월 말 긴급 부총장단 회의를 소집하고 지난 달 초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과 홍승범 KAIST 교무처장을 ... ...
이산화탄소 값어치 있게 바꾸는 촉매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차세대 고효율 촉매가 개발됐다. 포스텍은 김진곤 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한정우 서울대 교수 연구팀과 이산화탄소를 산업에 유용한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촉매의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 A’ 표지 ... ...
KAI, 카이스트 내 대전연구센터 개소…"항공우주 역량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계획이며 위성 등 우주사업 인력 중심으로 파견돼 운영된다. 개소식은 KAIST 항공우주
공학
과 자동차기술대학원의 실험동(N7-5) 증축 사업 준공식에 맞춰 진행됐다. KAI 대전연구센터는 건물 4층에 입주하게 된다. 행사는 강구영 KAI 사장과 이균민 KAIST 교학부총장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 ...
KAIST 총장 후보 3배수 압축…김정호·이광형·이용훈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전경. KAIST 제공 KAIST 차기 총장 후보가 이광형 현 KAIST 총장을 비롯해 김정호 전기·전자
공학
부 교수와 이용훈 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3명으로 압축됐다. 20일 KAIST에 따르면 KAIST 총장후보선임위원회는 전날 심사위원회를 열어 3명의 후보를 이사회에 추천했다. 가나다 순으로 김정호 교수와 ... ...
[과기원NOW] 핵융합 원료 고온 분리 신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포스텍은 김종규·최시영 신소재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프랑스 몽펠리에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계 최초로 질화붕소를 AA 구조로 쌓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1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공개됐다. 2차원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LED 디스플레이…바이러스 크기 픽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효율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오단 자오 중국 저장대 광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픽셀 폭이 바이러스 크기에 불과한 LED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LED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반도체 소자다. 연구팀은 지구 맨틀에서 추출할 수 ... ...
"영국선 지역 3곳이 방폐장 유치 자원…비결은 정보 투명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한다. 지하 처분장 분야에서 가장 앞선 나라는 핀란드다. 지하 처분장은 사용후핵연료를
공학
적 방벽으로 감싸고 다시 안정적인 암반에 묻어 '자연 방벽'으로 둘러싸 수십만년 이상 저장하자는 것이다. 핀란드는 지하 420m에 있는 단단한 화강암에 지하 처분장을 지어 올해부터 세계 최초로 운영을 ... ...
이창윤 과기 차관·출연연 "美 민감국가 지정, 협력에 아직 지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예정이다. 바이오파운드리와 관련해 에너지부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있는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도 현재까지 협업에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진 않은 상황이다. 이 같은 흐름은 기존 협력 관계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방증이란 설명이다. 민감국가 지정 자체가 양국의 협력 중단을 의미하는 건 ... ...
이산화탄소로 모래 만든다…친환경 건축 자재로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있는 방안이 제시된 것이다. 알레산드로 로타 로리아 미국 노스웨스턴대 토목·환경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이산화탄소를 사용해 건축 자재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9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서스테이너블 시스템 저널’에 발표했다. 지구온난화로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 ...
"원자력발전소, 韓 최대 강점은 건설 시간 준수와 강력한 공급망"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추진하는 원자력 직무 관련 프로그램인 '데스티네이션 뉴클리어(Destination Nuclear)'를 통해
공학
이나 원자력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원자력계에 다양한 직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고 공유하고 있다는 사례도 참고로 소개됐다. 레이먼트 소장은 차세대 원자로인 소형모듈원자로(SMR)도 유망하다고 봤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