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꿀돼지
꿀꿀돼지
도야지
돼야지
돼지주둥이
주둥이
주두리
뉴스
"
돼지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해석한 공포 영화 속 몬스터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6.01
죽은 지 4시간이 지난
돼지
의 뇌세포를 6시간 동안 살렸다고 발표했다. 교수팀은 죽은
돼지
의 뇌 동맥에 살아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혈액을 공급할 수 있는 ‘브레인엑스’라는 장치를 연결했다. 이를 통해 보존제와 안정제, 산소 등이 들어있는 인공 혈액을 주입했다. 그 결과 뇌세포 중 일부는 ... ...
북한 아프리카
돼지
열병 첫 발병...정부 "접경지역 방역 강화해 차단 총력"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북한에도 발생함에 따라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게티이미지뱅크 아프리카와 유럽을 휩쓸다가 지난해 중국으로 넘어온 이후 아 ... 등과 북한 발병과 관련한 강화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아프리카
돼지
열병 발생지역.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발전할 수 없다. 젓가락 기술의 실제 실험 장면 2005년 황우석은, 형질전환된 소나
돼지
의 난자를 자기 손으로 착상시키는 과정을 미디어로 내보내곤 했다. 그가 팔 전체를 암소의 자궁까지 넣는 사진은 한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기억하는 황우석의 이미지 중 하나였고, 그는 이 과정을 자신이 직접 ... ...
[이강운의 곤충記] 꽃가루 알레르기를 막는 방법
2019.05.22
, 충매화(딱정벌레목) 기후변화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고 많아진 이산화탄소로 풍매화인
돼지
풀이 더 많은 꽃가루를 생산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꽃가루가 많아지면 씨앗도 많아지고 해를 거듭할수록 더 많은 풍매화를 증식시킨다는 뜻이기도 하다. 온도가 올라가고 건조해져 풍매화가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목격할 수 있는 광경이다. 움직이지 않는 만큼 만성적인 운동 부족에 시달린다. 개발자는
돼지
나 멸치 중 하나라고 자조적인 말을 하는 이유다. 개발자 시절의 마크 저커버그. 2005년의 모습이다. 책상 위가 지저분한 것을 보면 저 시절 개발을 했던 것이 분명하다. 삐딱하게 앉은 자세마저 이 확신에 ... ...
"베트남
돼지
열병, 중국서 왔다" 국내 연구진 첫 확인
연합뉴스
l
2019.05.15
(서울=연합뉴스) 2019년 2월 베트남 북부지방(왼쪽 상단 빨간 원형 표시)의 아프리카
돼지
열병 의심 돈에서 분리한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유전자 타입 2형임을 바이러스 진화 계통도 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2019.05.15.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송대섭 교수 제공] ... ...
"과학포기자 만들지 않아요" 함께 읽고 춤추고 실험하는 과학교사들
2019.05.15
의식이 있어야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해부학 수업 중
돼지
의 심장에 학생들의 눈빛이 반짝였다. 신용수 기자 그래서일까. 김 교사는 과학 수업이나 영재학급 수업을 하기에 앞서 학생들에게 최근 과학 이슈를 발표하게 했다. 학생들의 흥미를 먼저 끌어내기 ... ...
‘
돼지
몸에 인간 장기’ 현실화 성큼…국내 기관 생명윤리위 첫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해결해야 할 문제가 너무나 많다”고 말했다. 100% 인간형 장기라고 했지만, 일부
돼지
세포가 섞여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인체의 면역 거부 반응이 염려된다. 김 교수는 “장기 내 세포를 개별적으로 게놈 해독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해 있어 확인하는 것은 문제가 안 된다”며 “ ... ...
돼지
서 이식용 장기 생산 본격 추진…건국대 기관IRB 첫 승인
연합뉴스
l
2019.05.14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재생의학 발전과 인간의 고형 장기를 생산할 수 있는 인간화
돼지
생산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현재 '동물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 ...
3D 프린팅으로 투명한 인공각막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이식 밖에 없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평균 6년을 기다려야 각막을 이식 받을 수 있다.
돼지
각막을 이용하거나 합성고분자를 쓰는 인공각막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은 투명성 등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실제 각막조직의 구조에 주목했다. 사람의 각막은 내부에 콜라겐 섬유가 격자 형태로 촘촘히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