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또 하나의 자기"(으)로 총 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매 치료제, 침체 딛고 일어나나동아사이언스 l2018.01.19
- 2016년 성공했다. - RIKEN 제공 ‘주류’인 아밀로이드 베타 대신 또 다른 뇌 속 노폐물 단백질인 타우 단백질을 노리는 약도 최근 급부상하고 ... 단백질로 정상일 땐 신경세포의 구조를 이루지만 치매가 진행되면 자기들끼리 엉켜 덩어리가 돼 신경세포를 죽인다. 뇌세포 안에 위치해 약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Aldh2 유전자가 술을 해독하라고 있는 건 아니다!). 변이형을 지닌 사람은 자기 몸에서 나오는 알데히드를 처리하기도 빠듯하다는 말이다. 게다가 나이가 ... 있지만... 학술지 ‘네이처' 1월 11일자에는 술이 안 받는 사람에게 또 한 번 경종을 울리는 동물실험 결과가 실렸다(물론 술이 센 사람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간 문화, 유전자가 결정할까? 2018.01.14
- 것에 불과한데, 그러면 ‘문화적’ 문화는 자율적으로 작동한다는 식의 자기모순적 결론에 도달하기 때문이죠. 밈 가설 이처럼 ... 모방하는 모방꾼. 이들이 주기적으로 벌이는 협주곡이 바로 유행이고, 또 문화라는 것이죠. 유전자 문화 공진화 가장 유력한 가설은 ... ...
- ‘제약사 포기에도 후퇴 없다’ 치매 조기 진단 춘추전국시대동아사이언스 l2018.01.12
-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아밀로이드 베타 대신 또 다른 뇌 속 노폐물 단백질인 타우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연구가 ... 국내 대표적 연구자인 이종민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는 “PET나 자기공명영상(MRI)과 딥러닝, 유전자 연구를 접목해 치매 고위험 유전자를 찾는 ... ...
- 2018년 기대되는 우주 탐사 계획들2018.01.07
- 도착하면 분리되어 수성 궤도를 돌며 1년 간 수성의 고유 자기장과 자기권, 수성의 표면 지형과 광물, 화학적 구성 등을 정밀 조사하게 됩니다. ... 도달하는 데는 약 7년의 시간이 소요돼 2025년에야 수성에 도착합니다. 또 섭씨 350도 이상의 온도에 견뎌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프로젝트입니다. ... ...
- [과학기자 문화산책] 검은 거울에 비친 우리의 진짜 미래...넷플릭스 '블랙 미러'동아사이언스 l2017.12.30
- 다른 사람에게 평가받기도 하면서 관계 속에서 자기의 자리를 잡아갑니다. 페이스북 같은 소셜 ... 도파민을 즐깁니다. 우리는 소셜 미디어에 또 하나의 세상을 만듭니다. 넷플릭스 제공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충분히 많은 시간을 소셜 미디어에서 보내면 사람과 세상에 대한 데이터가 ...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병든 세포 실시간 추적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2017.12.22
-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또 입자 크기가 작은 만큼 세포에 잘 흡수되고 부피 ... 단장과 권 연구원도 거기 포함된다. 최근에는 하나의 나노입자가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성 ... 금 나노입자가 대표적이다. 표적 세포에서만 자기장 변화를 일으켜 영상신호 세기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Rac1 유전자가 자폐 관련 질환과 연관돼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즉 Rac1 또는 그 신호전달 경로에 있는 유전자에 변이가 있을 경우 능동적인 망각이 ... 이나 학습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 기억 품질 관리는 자기 하기 나름 이처럼 고유망각을 비롯한 다양한 능동적 망각에 더해 수동적 ... ...
- 비트코인 투자가 마약 같은 이유는?2017.12.12
- 방안에 두고 히터 대신 사용해 난방비를 줄인다고 농담을 할 정도입니다. 또 어떤 이는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장비를 고민하기도 합니다. 여기에 한 ... 경우,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해보라고 합니다. 첫째, 투자로 인해 잠을 자기가 힘듭니까? 둘째, 투자 관련 뉴스를 끊임없이 강박적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본 것이라는 한계는 있다. 만일 아인슈타인이 지금 살아있다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같은 장비로 뇌의 활동 양상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고 그 결과는 뇌과학에 또 다른 영감을 주지 않았을까. ● 네트워크 활발하다고 다 좋은 건 아냐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월 22일자에는 똑똑한,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