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놈
남성
수코양이
뉴스
"
수컷
"(으)로 총 64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수 있음을 증명한 셈이다. 미국 샌디에이고야생동물원에서 생활하다 2014년 죽은
수컷
북부흰코뿔소 앙갈리푸의 모습. 이제 지구상에는 암컷 북부흰코뿔소 두마리만 남았다. -위키피디아 제공 ⑦끊이지 않는 야생동물 밀렵과 불법 매매 야생동물 밀매에 가담한 조직원들이 잡히고 있으나 ... ...
동물 사회도 지위 낮으면 건강이 좋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힘을 세지게 하는 요인이 아니라 힘으로 생긴 결과”라며 “활발한 면역 유전자를 가진
수컷
이 서열싸움에서 우위를 정한다”고 말했다. 텅 교수는 “사회적 지위와 건강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며 동물의 경우에도 사회적 지위에 따라 건강 상태가 달랐다”고 밝혔다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올페제타 보호구역에는 '파투'와 파투의 딸 '나진,' 두 마리의 암컷만 살아남았다. 마지막
수컷
북부흰코뿔소였던 ‘수단’이 지난 3월 19일 45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면서 사실상 온전한 순종 북부흰코뿔소의 대는 이미 끊겼다. 연구자들은 멸종을 막기 위해 체외 수정 실험관 연구를 야심차게 ... ...
도시 개구리가 암컷을 더 잘 유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따르기로 정한 것이다. 도시 퉁가라 개구리
수컷
의 울음소리 숲속 퉁가라 개구리
수컷
의 울음소리 동물들이 급격한 도시화에 따라 그에 걸맞는 유혹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는 속속 나오고 있다. 대만 연구진은 도시에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배수로를 확성기로 써 구애활동을 ... ...
무더위 때문에… 번식력 떨어진
수컷
곤충
과학동아
l
2018.11.30
온도에서 자란
수컷
그룹보다 최대 75%나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폭염에 노출된
수컷
들을 10일 뒤 다시 한 번 고온의 환경에서 생육하자 번식 성공률이 적당한 온도에서 생활한 개체의 1%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 암컷의 경우에는 온도가 생식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게이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중후한 목소리에 끌리는 이유
2018.11.18
동물의 세계에서 암수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입니다. 가끔 암컷과
수컷
을 헷갈려서 잘못 교미를 하는 동물이 있습니다. 언제 올지 모르는 소중한 짝짓기 기회를 날려버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동물은 동종 개체의 성별을 정확하게 판별하는 기전을 발달시켰습니다. ... ...
기후변화가 남성 불임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때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게이지 교수는 “고온 환경에서 생활한
수컷
은정자 수 뿐 아니라 활동성도 떨어져 사실상 불임이 됐다”며 “번식에 성공하더라도 그 자손의 수명이 크게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상이 비단 곤충의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도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잡아먹는 쏙독새의 경우처럼 볼라스 거미(bolas spider)도 나방 암컷의 성페로몬을 흉내 내
수컷
을 끌어들여 잡아먹는 공격적인 모방을 한다. 볼라는 남아메리카의 원주민이 끝에 돌맹이를 매단 밧줄을 던져 동물을 잡을 때 사용한 도구를 뜻하는데, 볼라스 거미도 암컷 나방의 페로몬 덩어리를 짧은 ... ...
정자왕을 꿈꾼다면 꼭 알아야할 상식
과학동아
l
2018.10.27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27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73/pnas.1806333115 연구팀은
수컷
실험쥐 48마리를 대상으로 단백질의 일종인 카제인 섭취량을 조절하는 실험을 했다. 24마리에게는 카제인 함량이 18%인 먹이를 공급하고, 나머지 24마리에게는 카제인 함량을 절반으로(9%) 줄인 먹이를 8주 이상 ... ...
아기 새는 '비브라토'로 노래를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새에게도 흔한 발성 기술인지 확인하기 위해 어른
수컷
새의 노래도 분석했다. 그 결과
수컷
새가 암컷에게 구애할 때에는 비브라토를 거의 쓰지 않고 ‘매끈한’ 노래를 부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비브라토는 새끼 새의 학습 과정에서 나오는 시행착오인 것이다. 머리에 전극을 꽂은 채 활동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