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뉴스
"
유전공학
"(으)로 총 1,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만 봐도 당신의 유전자가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스페인 호세 카레라스 백혈병연구소 연구팀이 얼굴 닮은꼴 16쌍을 조사해 얼굴이 닮으면 유전자 변이도 비슷하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 프랑수아 브루넬/셀리포트 제공 얼굴만 봐도 몸속의 유전적 변이와 희귀 유전질환 여부를 단번에 알 수 있다는 연구 ... ...
비료 물 적게 써도 수확량 그대로...친환경 농업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2
에두아르도 블룸왈드(오른쪽)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교수 식물과학부 연구팀이 벼 유전자 교정 실험을 진행했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제공 에 ... USDA) 산하 국립식품농업연구소는 “유전자 교정은 작물의 수확과 기능성을 함께 높이는
유전공학
을 가능케 한다”고 밝혔다. ... ...
[과학게시판] 생명硏, 전국 고교생 바이오안전성·바이오산업 토론대회 성료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가 ‘제13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바이오산업 토론대회’ 결선 경기를 지난 13일 대전 소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는 기후 위기 시대에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 ‘식량 위기 ... ...
"아밀로이드베타 논문 조작 논란, 치매 연구에 영향 적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확인한 영상이다. 윗부분이 아밀로이드베타 농도가 높은 부위. 미국국립보건원(NIH) 제공 인지력과 기억력을 서서히 잃는 치매는 아직 정복되지 않은 질병이다. 원인이 워낙에 다양한데다 발병 메커니즘도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고령화 ... ...
초소형 유전자가위 개발…다양한 체내 장기에서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초소형 염기 교정 유전자가위의 모식도. 한국생명공학원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체내 다양한 장기에 보낼 수 있는 초소형 염기 교정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유전자교정연구센터 김용삼 책임연구원과 연구원 창업기업 진코어가 교정효율을 대폭 높인 초소형 유전자가위 ... ...
조기발견 어려운 ‘미만형 위암’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맞춤의료연구단이 미만형 위암의 새로운 작용 기전을 규명했다. 이로써 맞춤형 위암 치료의 가능성이 열렸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가 미만형 위암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미만형 위암은 암 세 ... ...
이종이식 한걸음 가까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6
올해 1월 미국 메릴랜드대 의료센터 연구팀이 돼지의 심장을 인간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메릴랜드대 제공. 올초 미국 연구진이 사상 처음으로 유전자를 조작한 돼지의 심장을 말기 부정맥 환자에게 이식한 것을 계기로 이종이식 임상시험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것으로 나 ... ...
스마트폰 앱 활용해 1시간 내 코로나19 진단…PCR 수준 정확도
연합뉴스
l
2022.07.20
생명연 "다양한 신·변종 감염병 진단에 활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1시간 이내에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바이오나노연구센터 강태준 박사 연구팀은 고리 매개 ... ...
‘우영우’ 앓는 자폐증 새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 환자와 가족의 대규모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자폐증 원인 중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유발 원인을 알아내는데 성공했다. 자폐증 원인을 새롭게 이해하고 치료법을 마련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이정호 의과학대학원 교수 ... ...
호암상 수상자 키스 정 교수 “미래 질병 치료 길 여는 유전자 가위 기술 발전의 실질적 공헌자들은 한국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사이언스 제공 유전자가위는 생명 정보를 담은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을 효소를 통해 잘라내는 유전자 교정 기술 중 하나다. 고장난 유전자를 고치는 방식으로 농축산물의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유전질환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21세기가 낳은 가장 혁신적인 생명공학 기술로 손꼽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