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교
포교
역전
반전
전환
가망
선불
뉴스
"
전도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카락 굵기 입자 속 '고흐그림'이 위조 원천적으로 막는다
2021.01.05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지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전도
성 고분자 입자에 입체(3D) 문양(홀로그램)과 구조색, 형광 특성 등 보안 정보를 숨기는 위조 방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홀로그램과 같은 위조 방지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5만원짜리 ... ...
밀가루 반죽처럼 만든 갈륨,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약 30W/mK였고 복합소재는 다이아몬드 입자 크기에 따라 열
전도
율이 최대 110W/mK였다. 열
전도
율이 높으면 열이 잘 분산되므로 이 소재를 활용해 전자기기를 만들면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W/mK는 폭이 1m인 물체의 양쪽 온도 차가 1도일 때 1초에 1W(와트)에 해당하는 열에너지가 전달된다는 뜻이다.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300MPa를 단숨에 2배 뛰어넘은 값이다. 여기에 강도를 높이면 떨어지던 연성과 전기
전도
도는 기존 알루미늄 아연 합금과 비슷한 성능을 유지했다.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한 것이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로그레스 인 머티리얼즈 사이언스’ 8월호에 발표됐다. 한 책임연구원은 ... ...
네이처 ‘올해의 10대 과학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9 발생 초기 바이러스의 RNA 염기서열을 신속하게 분석해 공개한 중국 바이러스학자 장용
전도
화제 인물로 꼽혔다. 캐스린 얀센 화이자 백신연구개발 책임자. 화이자 제공 다음으로 우루과이산 코로나19 진단도구를 개발해 감염병 확산을 막은 우루과이 바이러스학자 곤살로 모라토리오와 미국과 ... ...
[화보]'비눗방울 위 태양전지 떴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비누방울 위에 놓을 수 있을 정도로 가볍고 얇은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전도
성 고분자(PEDOT:PSS)를 포함한 잉크를 이용해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피부에 부착하는 의료용 패치 등에 이를 활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4일 올해의 과학 사진 중 하나로 이 ... ...
[소재의 미래]⑷ 韓, 1등으로 만든 그래핀 산화물 원천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그래파이트가 되고, 그래파이트의 두께가 수nm를 유지하면 무게당 표면적이 늘고, 전기
전도
성이 커지며, 잘 휘어진다. ‘꿈의 나노 물질’이 되는 것이다. 2004년 그래핀이 학계에 처음 보고되고 6년 만인 2010년 ‘초고속’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자 그래핀에 대한 기대는 최고조에 달했다. ... ...
수십초 만에 충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0.12.03
밀도와 출력을 보이고, 구동 전압 범위도 넓다. 태양전지 모듈로 수십초 내에 급속 충
전도
가능하다. 강정구 교수는 "개발한 전지 활용 범위를 전기차 등 모든 전자기기로 확대하면 인류의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달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 ...
피부에 붙여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유연성·효율성·대량생산 세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연결해 열전소자의 저항을 낮추고 유연성을 높였다. 이렇게 만든 신축성 기판 내부에 열
전도
율이 높은 금속 입자를 넣어 열전달 능력을 기존보다 800% 가량 높이고 전력 생산량도 3배 이상 높였다. 연구팀은 이와 동시에 열전소자 인쇄공정을 자동화해 대량생산도 가능하게 만들었다. 연구팀이 ... ...
나노발열소재·의료기기용 나노발전기 '올해의 10대 나노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그래핀 생산을 위한 고온 금속 롤투롤 생산장비 기술’, 김준석 파루 수석연구원의 ‘
전도
성 나노잉크를 활용한 스트레처블 히팅모듈 및 아웃도어 의류 적용기술’도 산업화가 유망한 것으로 평가돼 10대 나노기술에 선정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나노 융ㅎ바 분야 신기술 및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가득 차 있어 변형은 자유롭지만 망가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전해질을 담은 이온
전도
체가 주파수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성질이 달라지는 점을 이용해 촉각과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수용체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용체는 전하가 물체에서 빠져나가는 시간인 ‘전하 완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