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바다에 생명체 있을까"…NASA 최대 행성 탐사선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천체에 가깝게 접근해 이 천체의 중력을 이용해 궤도를 변경하거나 비행 속도를
조절
하는 비행을 말한다. 탐사선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체의 중력만으로 우주선의 속도와 경로를 바꿀 수 있어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단, 유로파 클리퍼는 유로파 표면에 착륙하지는 않는다. ... ...
[과기원NOW] 포스텍 이동건 학생, 'AI 한국어 능력 평가 경진대회' 금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에 공개했다고 14일 밝혔다. 면역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면역관문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조절
해 환자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면역항암제'는 표준 항암 치료법 중 하나지만 대부분 환자에서 내성이 생겨 암이 재발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CNTN4 단백질과 면역세포에서 ... ...
비만 퇴치법 찾았다…지방 흡수 막는 '나노입자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SOAT2가 소장 내 지방 흡수를
조절
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도 확인했다. 소장에서 SOAT2가 억제되면 지방을 운반하는 단백질인 CD36이 분해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간에서 SOAT2를 차단하면 지방이 축적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번 ... ...
스트레스와 대장암 연결고리는 바로 '장내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수 있는 림프구의 일종이다. 쥐의 변을 분석한 결과 락토바실루스는 담즙산 대사를
조절
하고 세포독성 T세포의 기능을 향상시켰다. 담즙산은 미생물과 상호작용해 장내 미생물 구성을 변화시키고 암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락토바실루스는 스트레스를 받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
2024.10.13
즉, 단백질의 구조를 이해하면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명 현상의 원리와
조절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는 단백질 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질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뿐 아니라, 플라스틱 분해 효소나 생분해성 단백질 소재의 개발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충동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배외전전두엽이 정서
조절
과 결정을 담당하는 기능도 맡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지적통제력이 향상되면 식욕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doi: 10.1007/s00221-016-4580-1, doi: 10.3389/fnbeh.2022.893955) 뇌를 자극하면 식욕이 억제 된다. ... ...
국내 상륙 '꿈의 비만약' 위고비…효과만큼 부작용도 고려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GLP-1은 우리 몸에서 음식물 섭취에 반응해 배고픔에 관여하는 호르몬을
조절
하는 역할을 한다.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억제해 포만감을 느끼게 한다. GLP-1의 이같은 효과를 집약한 세마글루타이드를 투여하면 쉽게 배가 부르게 되면서 과식으로 인한 체중 증가를 막을 수 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
자 miRNA
2024.10.10
같은 촘촘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mRNA 발현양을 정밀하게
조절
하는 거대한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집합체를 상상해 보자. 이번 노벨상의 의의는 이러한 마이크로RNA를 동물에서 최초로 발견하고 동작하는 기작을 규명했다는 점에 있다. 빅터 앰브로스(Victor Ambros) 매사추세츠 의대 교수와 게리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않는다"면서 "2024년 노벨 화학상은 완전히 새로운 수준에서 단백질을 이해하고 마음대로
조절
할 수 있는 것(master)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단백질 설계에 도전하다 베이커 교수는 2003년 많은 사람들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기능을 가진 단백질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알파폴드는 아미노산 서열을 토대로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한다. 단백질은 생명활동을
조절
하는 핵심 분자다. 항체, 세포막, 효소 등을 구성한다.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로 만들 수 있는 단백질의 구조를 알면 이 단백질이 생체 내에서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