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힘살
근조직
심줄
살
힘쌀
근골
cric
스페셜
"
근육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갑오징어의 위장술에 대해 학계에서는 시각 신호를 받고 뇌에서 전달한 신호가 피부
근육
을 수축시키면, 색소포자가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색이 변한다고 설명한다. 뇌의 활동 변화를 컴퓨터로 분석해 색변화를 추적했다. 하지만 일부 실험에서 뇌의 명령을 피부에 전달하는 운동 신경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칼륨 통로 단백질은 다양한 조직에 분포하기 때문에 지네에 물리면 심혈관계와 호흡계,
근육
계, 신경계가 한꺼번에 교란되면서 상당한 덩치의 동물도 목숨을 잃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KCNQ 칼륨 통로를 열어주는 약물이 있으니 바로 뇌전증(간질) 치료약인 레티가빈(retigabine)이다. 그렇다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오른쪽 팔을 한정된 각도 이상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험을 했다. 갑작스런 어깨 사용에
근육
들이 놀랐는지 일주일 동안 밥을 먹을 때나 씻을 때, 특히 옷을 갈아입을 때 무서운 통증을 경험했다. 영상 속에서는 다들 하하호호 웃으며 참 쉽죠? 라고 하는 느낌이었는데 조금 속은 기분이었다. 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배 속 장기 주변에 붙어 있는 지방이다. 우리 몸의 지방은 대부분 피하지방이지만 일부는
근육
이나 내장 주변에 있다. 따라서 요즘은 비만도를 반영하는 지표로 BMI보다 허리둘레를 쓰는 문헌이 많다. 물론 허리에도 피하지방이 있지만 대체로 내장지방이 많을수록 허리둘레가 길기 마련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갈색지방조직으로 들어간다는 시나리오다. 흥미롭게도 40여 년 전인 1976년 운동을 할 때
근육
에서 숙신산이 만들어져 혈중 농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추위로 생쥐가 덜덜 떨 때(
근육
운동) 숙신산이 만들어졌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저온 자극이 교감신경뿐 아니라 숙신산을 통해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실렸다. 존스홉킨스의대가 주축이 된 미국과 싱가포르 공동연구자들은 남아있는 팔의
근육
이 만들어내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 14가지 동작을 할 수 있는 의수(상품명 bebionic prosthetic hand)에 실제 피부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전자피부(e-dermis)를 씌워 진짜 팔로 착각할 정도의 놀라운 효과를 얻는 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있는 전뵈트징어복합체(preBötC)는 호흡리듬을 발생시켜 신호가 VRG전운동뉴런을 통해
근육
에 전달돼 호흡을 하게 되고 그 정보는 청반(LC)으로 전달돼 각성 등 뇌 전반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사이언스’ 제공 한숨을 쉴 때는 전뵈트징어복합체의 뉴런의 활동 패턴이 다르다. 즉 들숨 뉴런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병균에 감염되는 걸 막기 위한 살균 작용이다. 다음으로 음식을 흐물흐물하게 만들어 위
근육
의 운동에 쉽게 부서지게 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위에서 분비되는 효소인 펩신도 강산에서 활성화돼 단백질을 분해한다. 이렇게 위에서 시달린 음식물은 죽(미즙)으로 바뀌어 본격적인 소화 흡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거의 매일 수십 킬로미터를 걷거나 뛰는 게 일상이었다. 즉 우리 몸은 큰 뇌를 지닌 채
근육
을 많이 쓰는 생활(둘 다 포도당을 물 쓰듯이 하는 기관이다!)에 맞게 설계돼 있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게놈에 탄수화물 대사 관련 유전자를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녹말을 소화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를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모두 똑같은 인간정신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킹 박사는 희귀병으로 얼굴
근육
일부만 움직일 수 있는 극단적인 장애를 겪었지만 그의 정신만은 세상 누구보다 자유로웠다. 2012 런던 패럴림픽 개막식에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