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스페셜
"
바다
"(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실었다. 당시 화산 분화로 화산 동쪽 단층에서 나온 붉디 붉은 용암이 마치 강물처럼
바다
쪽으로 흘러내렸다. 화산 정상에 있던 냄비 모양을 닮은 분지인 칼데라(분화구)도 붕괴됐다. 킬라우에아 화산에선 3개월간 이런 연쇄 폭발과 지진이 지속됐다. 이번 화산 분화는 최근 200년간 미국에서 ... ...
[과학게시판] 기후기술 R&D 아이디어 발굴 전문가 대토론회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를 열 계획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7일 '울등도, 독도의
바다
생태계'와 '
바다
이 눈, 소리의 비밀' 등 해양문고 2권과 화보집 '대양탐사 대항해에 도전하는 이사부호', 전문도서 '세계 컨테이너 터미널 견문록'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KIOST는 2007년부터 일반 대중과 청소년이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농지와 담수가 풍부하지 않아 식물을 키워 플라스틱을 만들 수 없다”며 “이 때문에
바다
에서 만드는 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한국에서도 미생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올해 1월 유전자를 개량한 대장균을 이용해 포도당으로 페트(PET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불린다. 눈에 비친 세상을 그대로 몸에 반영하는 것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9일
바다
를 유영하는 갑오징어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갑오징어가 변신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이 이뤄지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갑오징어의 피부 아래에는 색소포자라고 불리는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개체가 바로 제돌이랍니다.” 제돌이는 서울대공원 수족관에 있다가 5년 전 제주 앞
바다
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로, 당시 이를 계기로 돌고래 보호와 연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어났다. 이후 이화여대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돌고래 연구팀이 지속적으로 추척, 관찰하며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Tiktaalik)이 마침내 성공했다. 3억6000만 년 전 등장한 실러캔스는 이 과정에서 다시
바다
로 돌아간 종이다. 흥미롭게도 실러캔스(Coelacanth)의 게놈에는 육상 척추동물에만 있는 2군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7개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문득 후각수용체와 코(후각상피)의 관계는 뉴런과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이 기록들이 모이면 남방큰돌고래의 습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요. 드론을 꺼내
바다
위로 날리기도 했답니다. 드론으로 남방큰돌고래 무리를 관찰하고 있는 김미연 연구원과 이를 촬영한 모습.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4호 제공 “집단의 움직임을 관찰할 땐 드론을 이용해요. 뿐만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니콜 킹 교수팀이 지난 10여 년 동안 이 일을 했다. 바로 깃편모충류(Choanoflagellate)라는
바다
에 사는 원생생물(단세포 진핵생물)로, 긴 편모가 하나 있고 그 주변에 깃이 펄럭이는 형태다. 동물이 식물이나 균류(버섯(자실체)처럼 그럴듯한 구조를 만드는 종류가 있다)보다 단세포생물과 더 가깝다는 게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
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이번 화석은 필리핀 북부 섬 루손에서 발견됐다. 주변은 70만 년 전이나 지금이나 깊은
바다
다. 어떻게 인류가 갔을까? - 사진제공 네이처 한편 3월에는 중국 중부 허난성 쉬창시에서 약 13만~11만 년 전에 만들어진 동물뼈 망치 7기가 발견됐다. 사슴뿔 등으로 만든 망치로, 석기를 정교하게 다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아니라 코발트라고 주장했다. 리튬 수급도 여유가 있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2025년까지는
바다
에서 추출하는 걸 고민해야 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아니 지금 리튬이온배터리 얘기를 하다가 왜 코발트를...’ 이렇게 생각하는 독자들도 있을 텐데 리튬이온배터리에 리튬만 들어가는 건 아니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