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스페셜
"
연구자
"(으)로 총 2,1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식이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2022.02.22
단백질의 아세틸기를 떼어내 염증 신호를 증폭 등 여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
들은 게놈편집기술로 PLA2G7 유전자가 고장난 생쥐를 만들었다. 놀랍게도 이들은 고지방먹이를 마음껏 먹는 조건에서 대조군에 비해 살이 찌는 정도가 덜했고 염증 유발 물질의 수치도 낮았다. 추가 연구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장 작은 일반상대성 이론 시험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콜로라도대와 표준기술연구소(NIST)가 공동 운영하는 실험천체물리학합동연구소(JILA)
연구자
들은 일반 상대성 이론, 더 구체적으로는 ‘시간팽창’ 효과를 역사상 가장 작은 규모에서 측정한 결과를 네이처에 이날 소개했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915년 일반상대성 이론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
2022.02.20
면이 있다. 실제로 가학성과 온라인 테러가 관련이 있는지 보기 위해
연구자
들은 사람들에게 감정적으로 또는 신체적으로 괴로워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여주고 ... ...
장애 넘어 과학자 꿈 키운 24살 청년도,출산과 육아 병행한 34살 엄마 박사도 이날은 모두 '챔피언'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1학년 여름 미국에 이주한 뒤 가까운 친척들이 암으로 세상을 떠나는 모습을 보며 암
연구자
의 꿈을 키우기 시작했다. 그는 빌게이츠 장학재단의 지원으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했다. 이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에서 과학교육학과 줄기세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 ... ...
1심서 '무죄' 유전자 가위 전문가 김진수 전 교수, 항소심서 ‘번복’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미래 산업에 중요한 유전체 교정 기술을 오래 연구하면서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받은
연구자
”라며 “연구 능력과 학문적 기여 가능성 등을 참작해 달라는 탄원서 등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 ...
[랩큐멘터리] 광소자 소형화·집적화로 양자통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오늘도 연구실마다 교수와 연구원,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열정을 펼치고 있습니다.
연구자
한 명 한 명은 모두 하나하나의 학문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210개에 이르는 연구실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연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2분 분량의 연구실 다큐멘터리, 랩큐멘터리를 매주 ... ...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운 웹 망원경 관측 시간 따내기
연합뉴스
l
2022.02.16
가리고 제안서 내용을 검토한 뒤 자격 여부를 가리는 '이원 익명 동료 평가'(DAPR)를 통해
연구자
를 선정해 왔으며, 웹 망원경 관측 시간 배정에서도 이를 적용했다. 미시간대학 천문학 박사과정 대학원생으로 해왕성 궤도 앞뒤에서 태양을 도는 트로이 행성 관측 제안서를 내 25시간을 배정받은 라리사 ... ...
[기고]과학정책, 정치논리 아닌 전문가와 데이터에 기대야
2022.02.15
제대로 성과를 기대하려면 지금까지 유지해 왔던 규제위주의 정책이 아니라 각
연구자
들이 자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국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분야에서 행정편의적인 규제위주의 각종 법안들을 대폭 수정하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국가 과학기술연구 개발의 ... ...
[과학게시판] 제7차 한-EU 과기 공동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멘델레예프를 기리기 위해 러시아의 재정 지원으로 제정됐다. 지난해부터 기초과학 우수
연구자
와 기초과학 교육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기초과학 분야 국내외 협력 활동에 기여한 과학자 2명에게 매년 시상한다. 추천은 다음달 15일까지로 유네스코 홈페이지(https://en.unesco.org/stem/basic-sciences-prize)에서 ... ...
뉴욕 사는 야생사슴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 보고…코로나 바이러스 저장소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3
효과를 잘 피하고 더 치명적인 변이 또는 변종으로 인간에게 되돌아오는 것이다. 일부
연구자
들은 사슴으로부터 재감염 가능성을 낮게 보기도 한다. 사람과 돼지, 가금류 간의 지속적인 교류로 발생하는 독감을 제외하고 전염병을 유발하는 야생 동물이 알려진 게 거의 없다는 지적이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