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완료
마무리
성숙
원숙
완비
완벽
스페셜
"
완성
"(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두려움의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아직 미
완성
인 과제보다 이미
완성
한 과제의 어려움을 다소 평가절하하는 현상도 나타난다. 현재진행형 어려움이 아닌 이미 지나버린 어려움은 금방 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타인의 비슷한 고통을 바라볼 때 역시 자신은 시간이 지나서 해당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것 같지만 성장 과정을 보면 그렇지도 않다. 뇌는 생후 급격히 커지고 10세 무렵에 성장이
완성
되지만 키는 사춘기에 훌쩍 큰다. 즉 뇌의 성장과 몸의 성장이 따로 일어나기 때문에 상관관계가 약한 것이다. 남녀에서 평균 뇌용량과 평균 키가 비례관계인 것에 대한 의미는 뒤에서 논한다. 뇌용량과 ... ...
남북 표준 단위 체계도 통일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향상을 위한 분석과 대응 방안을 마련해 실시할 계획이다. 보다 향상된 측정과학기술을
완성
하면 한반도 내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등 환경문제뿐 아니라 천연자원탐사 등에서 남과 북이 공동으로 대응해 갈 수 있으리란 전망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판문점회담 이후 언급했던 표준시에 대한 ... ...
일단 '시간통일'부터? 남북한 표준시 다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4.29
서울이나 평양의 실제 시간과는 8시간 30분 정도 차이가 있다. 세종대왕 때인 1437년
완성
된 해시계 앙부일구는 서울 종묘 남쪽 인근에 설치되었는데, 이 시계에 나타난 시각 역시 UTC+0과 8시간 28분의 차이가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 중인 앙부일구 우리나라가 처음 표준시를 정한 것은 1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
과학동아
l
2018.04.26
지질 및 광물자원 분야에서 남북의 협력은 한반도의 형성 과정을 지질학적으로 규명해
완성
시킨다는 학문적인 의미도 있다. 지질학적 연구는 광상을 형성하는 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만큼 이는 곧 새로운 광물자원을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고 단장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않으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범죄임을 시사하는 결과다. 폭력을 행사하기 위한 덫을
완성
해가는 과정은 작은 것들로부터 시작된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살펴보자 (UC Davis Health). 당신이 : - 파트너가 종종 두렵게 느껴진다. - 나는 파트너에게 나쁜 대접을 받아도 싸다는 생각이 든다. - 내가 이상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돈을 벌어 딸의 학비를 대자”는 것도 이 책 집필의 이유라고 쓰고 있다. 1984년 초고가
완성
됐지만 숱한 우여곡절을 거쳐 1988년에야 출판됐는데 즉시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40개 언어로 번역돼 천만 부 넘게 팔렸다. 이 현상에 대해 호킹은 “내가 장애를 딛고 이론물리학자가 되기까지의 흥미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서열이 알려진 감귤류 28가지에 새로 30가지의 게놈을 해독해 감귤류의 가계도를 거의
완성
한 것이다. 감귤류 58가지의 게놈을 토대로 추정한 감귤류의 기원과 분화, 전파경로를 보여주는 지도다. 이에 따르면 중국 남서부와 미얀마, 히말라야 동부가 출발점이다. -네이처 제공 게놈을 비교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013년 새로운 전자탐지기의 도입으로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이
완성
되면서 생화학 분야에서는 그야말로 ‘극저온전자현미경’ 시대가 열렸다.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나, 귀에서 압력 변화를 느껴 읽고 듣게 도와주는 센서 분자, 지카 바이러스 등의 구조가 극저온전자현미경 기술 덕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
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표지로 읽는 과학-사이언스] Craig, Karl 제공 등장한 지 올해로 만 200년을 채운 소설 '프랑켄슈타인: 현대의 프로메테우스'는 여전히 과학계의 화두다. 프랑켄슈타인은 사실 원작에서 괴물을 만들어 낸 과학자의 이름이었지만 수많은 영화나 연극 등의 작품에서 인간이 만든 괴물의 이름으로 각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