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표제
테마
타이틀
논제
문제
목표
스페셜
"
제목
"(으)로 총 47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범의 추억
2016.11.08
식성이 동물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게놈의 차원에서 분석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논문
제목
도 ‘새로운 표범 게놈을 기준으로 한 육식동물과 잡식동물, 초식동물 포유류 게놈 비교’다. 즉 이번에 얻은, 고양잇과 동물 게놈 가운데 완성도가 가장 높은 아무르표범의 게놈을 표준으로 해서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과학자가 돼야 한다고 당부한다. ‘관측에 관한 대화(A conversation about observation)’이라는
제목
아래 두 천문학자가 주고받은 편지 여섯 통을 읽으며 ‘이것이 진정한 멘티와 멘토의 관계구나...’라는 감동을 느꼈다. ● 별 형성 시나리오 관측으로 입증돼 지난해 ‘네이처’에는(2월 12일자) ...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사이언스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차기 대통령(NEXT PRESIDENT)을 위한 과학 수업’이란
제목
의 특집 기사를 실었다. 사이언스는 각 과학 분야 전문가 자문을 얻어 6가지 과학 이슈를 꼽았다. 최종적으로 새로운 질병의 등장, 유전자 교정, 해수면 상승, 뇌 과학, 인공지능, 위기 인지능력이 선정됐다.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부른다. 학술지 ‘네이처’ 8월 18일자에는 ‘플라스틱 해양’이라는
제목
의 기사가 실렸다. 세계 바다가 플라스틱에 얼마나 오염됐는가를 그래픽 자료에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충격적이다. 2014년 학술지 ‘플로스 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오늘날 바다에는 5조 개가 넘는 플라스틱 조각이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최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레인 브레인’이 대표적인 책으로 각운을 살린 원서의
제목
(Grain Brain)은 곡물이 현대인의 뇌건강을 망치고 있다는 뜻이다. 신경과 전문의이자 미국영양학회 회원인 저자 데이비드 펄머터는 정제된 탄수화물뿐 아니라 곡물 자체가 건강에 안 좋고 특히 밀에 들어있는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만들어졌고 이듬해 국내에서 원제를 그대로 쓴 ‘페인티드 베일(The Painted Veil)’이라는
제목
으로 개봉됐다. 콜레라가 주요 모티브인 서머싯 몸의 장편 ‘인생의 베일’은 2006년 영화로 만들어졌다. - 유니코리아 제공 아버지가 변호사인 영국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키티 가스틴은 자라면서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Appetite)’에는 ‘차가운 즐거움. 우리는 왜 아이스음료와 아이스크림을 좋아할까’라는
제목
의 논문이 실렸다. 이에 따르면 차가운 음료는 따뜻한 음료에 비해 갈증해소효과가 큰데 이는 구강의 냉각수용체가 뇌의 갈증중추에 신호를 보낸 결과라고 한다. 즉 뇌는 구강내 차가운 자극을 갈증을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코펜하겐 방문 건은 읽은 기억이 없는데, 씁쓸하게도 중간쯤 ‘읽어버린 낙원’이라는
제목
의 장에 이 에피소드가 있다. 19년 만에 ‘다시’ 읽어보니 하이젠베르크에 대한 평가는 필자의 기억이 대충 맞았다. 즉 하이젠베르크는 당시 기술로 우라늄235을 분리농축해 폭탄을 만든다는 건 현실성이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시작하면 멈출 수 없는 전기는 꽤 많다. - 무라카미 하루키 ‘이윽고 슬픈 외국어’라는
제목
의 무라카미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읽다가 위의 구절을 발견하고 무릎을 쳤다. 십 수 년 전부터 필자가 느껴왔던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설가가 이런 소리를 하니 용감한 걸까? 아무튼 필자는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타니아나 토레스 박사의 반박문이 실렸다. ‘멘델의 유산을 계속 기념하자’라는
제목
의 글에서 토레스는 멘델을 비롯해 현대유전학의 토대를 쌓은 과학자들의 업적을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버리는 건 말이 안 될 뿐 아니라 이들의 결과는 여전히 유전현상을 설명하는데 최고라고 주장했다. 즉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