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시 같은 은하에 초신성이 두개
과학동아
l
199306
은하에 동시에 두개의 초신성이
빛
을 발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화제가 되고 있다. 초신성이란 별이 일생을 마치고 장렬하게 폭발하는 현상. 초신성 폭발로 인한 충격은 주변에 영향을 미쳐 우주공간에는 새로운 별이 탄생하기도 한다.한개의 은하에는 평균 3, 4백년에 하나씩의 초신성이 폭발하고 ... ...
피부와 태양
과학동아
l
199306
샌 디에고의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진에 의하면 대부분의 일광차단제들도 그것이 모든
빛
을 완전히 가리는 것이 아닌 다음에야 피부 깊숙이 침투해서 멜라닌세포에 영향을 주는 적외선-b와 같은 광선은 막지 못한다고 한다. 즉 오랜시간 태양 아래에서 있을 경우 일광차단제를 발랐다고 하더라도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06
햇
빛
이기 때문에
빛
을 감각하는 눈과 관계가 있음에 틀림없다. 생물학자들은 5년전
빛
자극이 망막을 통해 생체시계에 이른다는 것을 연구, 사람의 생체개일시계를 대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작은 두 지역으로까지 추적해갈 수 있었다. 이 부분은 시교차상핵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뇌의 기저부에 ... ...
개불알꽃으로 더 잘 알려진 복주머니꽃
과학동아
l
199306
안쪽에 약간의 반점과 연모가 있다. 아래의 꽃잎은 주머니모양이며 연한 분홍
빛
바탕에 붉은 자주색 무늬가 있다. 꽃잎들 사이에는 암술과 수술이 융합된 예주(蘂柱)가 돌출돼 있고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려져 있으며 수술은 2개다.큰복주머니꽃을 포함한 복주머니꽃속 식물은 독특한 모양의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06
방출하는 에너지의 백배나 되지요. 이 중성미자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중성미자는
빛
과는 달리 눈에 보이지도 않고 물질과 상호작용도 안하므로 우리들이 전혀 느낄 수 없는 입자입니다. 따라서 중성미자를 통해 우주를 볼 수 있다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정보를 입수할 수 있습니다." 김교수는 ... ...
곳곳서 기상이변 생태계 파괴
과학동아
l
199305
하층 대류권에서는 태양
빛
을 받아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로부터 생성된다. 특히 태양
빛
의 강도가 강한 여름철에 광화학 스모그 현상을 일으키고 시정을 악화시켜 대기를 갈색의 안개층처럼 보이게 한다. 오존은 합성고무 고무단열제 등을 부식시키며 직물을 상하게 하고 색소를 탈색시키며 ... ...
코비의 우주배경복사 온도차이 재확인
과학동아
l
199305
절대온도 2.735도). 우주배경복사가 균일하다면 현재의 우주구조를 설명할 수 없다.
빛
의 온도차이란 바로 우주공간의 물질이 불균일하게 분포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차이로 오늘날의 우주가 생성됐다는 설명이 가능한 것이다.코비는 바로 대폭발 시의 '
빛
화석'이라고 할 수 있는 우주배경복사의 ... ...
낮잠 15분이 두뇌활력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305
들어가기 전과 후에 뇌의 반응시간을 알아보는 실험도 수행했는데, 이 실험은 눈앞에
빛
을 번쩍 보여준 뒤 손에 쥔 스위치를 누르기까지의 시간을 마이크로초(${10}^{-6}$초) 단위로 측정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15분의 낮잠으로 졸음은 16%가 개선됐고 단순반응시간도 빨라졌다.또 40대 남성 한사람의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05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달의 세부적인 지형구분을 하기 힘들다.보름달보다는 태양
빛
이 달 표면에 비스듬히 비추는 반달을 전후한 때가, 달의 지형에 그림자를 생기게 하기 때문에 지형구분을 하기가 쉽다. 각 월령 때마다 일그러진 무렵의 지형을 관측하는 것이 달관측의 요령이라 할 수 있다. 달은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05
크기를 각으로 인식한다1분보다 작으면 모두 점한 물체의 끝과 끝으로부터 나오는
빛
과 우리 눈이 이루는 각이 그 물체의 크기각이다. 이 각의 크기를 가지고 우리는 물체의 크고 작음을 판단하게 된다.이 크기각은 물체의 고유 길이와 눈으로부터의 거리에 각각 비례해서 커지고 작아진다. 같은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