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소요된다. 그러나 파란불은 이미 2분 13초 경에 꺼졌고, b횡단보도도 2분 40초에 꺼지니 다음 신호를 기다려야 한다.첨단 주제에도 관심을 갖자지금 한참 이슈가 되고 있는 첨단 물리 분야도 좋은 탐구주제가 될 수 있다. 천체물리학자나 응용수학자, 첨단 소재를 이용한 공학자의 길을 걷고자 한다면 ...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긴 생머리가 정말 사람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걸까요?"남자는 자신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기 위해 자신의 아이를 잘 낳아 줄 건강한 여자에게 끌리도록 진화했어요. 파마나 염색이 없던 시절, 긴 생머리는 건강하다는 증거였답니다. 머리카락은 모낭으로 공급되는 혈액에서 영양분을 ... ...
- PART 1 어떤 보드게임도 새롭게 탄생한다! : 카드를 전부 내야 한다, 우노수학동아 l2011년 05호
- 파란색에 적힌숫자는 모두 앞에 음의 부호‘-’를 붙여 음수라고 생각하는 거죠. 그런 다음‘같은 색깔의 카드나 바닥에 놓인 숫자와 더했을 때 0이 되는 숫자카드를 낼 수 있다’로 규칙을 바꿉니다. 예를 들어 녹색 7이 바닥에 놓여 있다면 파란색 7이나 녹색 6을 낼 수 있습니다.변형 ③ : 약수 카드 ... ...
- PART 3 수학공부에도 효과 톡톡!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것은 훨씬 더 훌륭한 학습이 될 수 있어요.특히 게임의 규칙을 바꿔서 직접 게임을 해 본 다음, 게임이 재밌는지 재미가 없는지, 쉬워졌는지 어려웠는지 등을 생각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렇게 반성하는 과정은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 ...
- PART 2 달인의 노하우, 전격 공개하다! : 변형 보드게임 만들기, 4단계!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가지고 놀았다면, 이제 보드게임을 변형하기 위한 기본적인 준비는 된 셈입니다. 그 다음으로 이제부터 말하는 4단계를 따라 해보세요.첫째, 게임이 가지고 있는 간단한 조건을 적습니다. 루미큐브를 예로 들어 설명하죠. 루미큐브는 숫자가 적힌 여러 개의 타일이 있습니다. 따라서‘1부터 13까지 ...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삼으시길 바랍니다.”마지막으로 그는 수학동아 독자와 수학자를 꿈꾸는 학생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수학과 사랑에 빠지세요. 수학을 사랑하는 것이 수학을 연구하는 것보다 중요합니다. 자신만의 질문을 만들고 이것을 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세요 ... ...
- 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설명이다.수학적 사고력을 높이는 데 필요 예를 들어 A라는 노선버스가 오전 4시부터 다음 날 오전 1시까지 운행한다. 버스가 출발점으로 돌아올 때까지는 평균 3시간이 걸린다. 이때 평균 배차시간을 6분에 맞추는 데 필요한 버스의 최소 대수는?전자계산기가 없다면 이 문제처럼 버스 대수 이상의 ... ...
- I-빔 타일 깔기수학동아 l2011년 05호
- m과 n이 둘 다 짝수일 때에는, 일반성을 잃지 않고, m≤n이라 해도 되겠다. 즉, 우리는 다음의 크기인 경우들에 대해서만 판단해주면 된다.(6+2m)×(5+2n), (6+2m)×(6+2n) (m, n≥0) 후자에서 6×6 크기는 불가능하고 8×8 크기는 가능함은 이미 앞에서 확인하였다.문제 3(1) 6×5 크기와 6×8 크기의 체스판은 도 ...
- [영재교육현장] 수학자·과학자 돼보는 대진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수소기체가 발생한다. 수소 기체 때문에 생긴 압력은 시험관 안에 있던 황산을 밀어내 다음 반응을 일으킨다. 이렇게 10개가 넘는 단계가 도미노처럼 이어진다. 마지막단계에는 화학 반응으로 생긴 불이 도화선을 타고 올라가 풍선을 터뜨리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각 단계에서 화학반응이 생기는 ... ...
- 왜 1+1=2인가?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더한 수가 바로 1 다음 수이지요. 그래서 2가 되는 거예요. 1에 2를 더한 수는 1 다음 수의 다음 수가 되겠지요. 그래서 1+2 = 3이에요.페아노의 이 약속은 몇 만 년 이상 사용해온 수를 가장 타당한 방법으로 설명한 것이라고 보면 돼요. 페아노가 새롭거나 색다른 약속을 제안한 것은 아니라는 말이지요.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