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출근 준비해야지!). 같은 장소에 가더라도 사람이 적다는 뜻이다.*분석 방법 : 국토연구원은 SK텔레콤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를 받아활동인구를 분석했다. 수도권을 89만 개의 셀(구역)로 나누고(셀 면적은 50m x 50m) 모바일 폰 사용자가 이동하는 패턴을 분석했다.*활동지수 = 각 시간대 활동인구 수 ÷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남서부 수아이 지역의 지질도 작성과 교육을 의뢰했다. 필자를 포함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팀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공적개발원조 지원을 통해 2011부터 2년간 한국의 지질조사 및 자원탐사 기술을 전수했다. 현지 조사를 통해 1:25,000 축척 정밀지질도도 발간했다.그 과정이 순탄치만은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040년 3월, 당시 나는 화성에서 돌아온 뒤 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으로 복귀해 동료들과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었다. 학교에서 강연 요청이 밀려 들어왔고, 방송 인터뷰와 신문 칼럼 집필, TV 출연 요청이 이어졌다. 요청에 일일이 응하면서도, 화성탐사를 통해 얻은 수많은 우주기술을 산업계에 ... ...
- [교과연계수업] 과학으로 예방하는 화재, 우리 집을 지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현무암 같은 열에 강한 광석을 주재료로 해서 녹인 뒤 얇게 만든 것이지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유용호 박사는 “날씨가 추운 북유럽 국가에서도 글라스울과 미네랄울을 단열재로 쓰듯이, 우리나라도 화재 발생 시 안전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티로폼 대신 불에 타지 않는 단열재로 ... ...
- [과학뉴스] 중생대 최대의 도마뱀, 고향은 한반도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보기 드물게 흰색이라서 붙었다. 흰 화석은 화석이 열 변성을 받지 않았다는 뜻이다.박 연구원은 “도마뱀은 뼈가 작고 연골이 많으며 부패가 빨라 화석이 드물게 발견된다”며 “한국에서 처음 발견된 도마뱀 화석인데다 몸집도 커서 연구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아리랑 3A호’ 26일 러시아에서 발사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아리랑 3A호의 발사 준비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부터 8년간 개발한 아리랑 3A호는 발사 후 4년 간 528km 상공에서 지구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중량은 1.1t으로 한국위성 최초로 고성능 적외선 센서를 탑재해 야간에도 관측이 가능하다. 또 0.5m급 국내 ...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말라 죽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132그루가 그해에 집단으로 고사했다. 부산시는 당시 임업연구원에 원인규명을 의뢰했다. 그 결과,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로 판명됐다(한겨레신문, 1988년 12월 17일 보도). 학계는 부산에 들여온 일본원숭이 우리의 재료가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나무였던 것으로 ...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양털은 보온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겨울철 섬유로 가장 사랑받고 있어요.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서 실험한 결과, 털을 데우고 한 시간이 지났을 때 83% 이상 온도가 유지됐답니다. 그 비결은 표면에 빽빽하게 늘어선 작고 예리한 비늘이에요. 털이 서로 얽히기 쉽기 때문에 안쪽에 많은 공기를 품을 수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깨지면 동굴은 무너지게 된다.정용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공간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자연동굴이 무너질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잘라 말한다. 응력이 평형을 이루지 않는다면 거대한 동굴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이미 무너져 내리기 때문이다. 다만 음악회가 열릴 때 지진 같은 급작스러운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청했다. 3D 프린팅 기술을 의료 분야에 융합한 과학자였다. 지난 2월 4일, 당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프로젝트를 이끈 심진형 한국산업기술대 기계공학과 교수를 연구실에서 만났다. “특명이었죠. 일주일 안에 환자에게 꼭 맞는 맞춤형 관을 만들어라. 애 하나 살리자. 다른 연구는 올 스톱.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