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통해 국내외에 있는 스포츠화 제작회사에 문의하거나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공개토론을
열
어볼 수 있다. 자료를 구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시도했고, 그 결과는 어떠했는지, 그리고 실패했던 경험과 성공했던 경험을 모두 구체적으로 기록한다.선수들의 동작분석실제로 경기장에 가거나 텔레비전 ... ...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 VS 익스플로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방향을 인터넷쪽으로 급선회한 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시간을 줄이기 위해 모자이크 계
열
의 웹브라우저 회사인 스파이글래스(Spyglass)사와 기술 라이선스를 맺고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1.0버전을 처음 선보였다. 그러나 이 제품은 넷스케이프와 비교가 안될 정도로 매우 초보적인 기능만 ... ...
건전지 손목시계부터 우주왕복선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남아있다면 전류가 저항단자에 흐르면서 가
열
된다. 이
열
이 건전지에 얇게 도포돼 있는
열
변색성 색소의 색깔은 변화된다. 듀라셀의 제품은 온도계처럼 생겼고 에버레디의 것은 25%이상 용량이 남아 있으면 'Good'd이라는 글자가 나타난다. 가격은 종전의 것과 같다.재충전 가능한 ... ...
수지침 - 인체의 축소판, 손을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않고 표면에 자극을 주는 기구는 주로 만성적인 질환에 사용된다. 원기증진, 원기회복,
열
이 나거나 냉할 때의 건강관리에는 데지 않게 뜨는 뜸인 서암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서암전자빔은 작은 크기의 전류를 피부에서 약 2-3mm 떨어져 자극을 주는 기구다. 이는 통증이 전혀 없으면서도 치료 ... ...
기능성 색소의 세계 온도따라 벽지 색깔 바뀐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되는 것이 바로 포토크로미즘 이다.서모크로미즘도 마찬가지다.
열
에 의해 변색이 되고
열
을 제거하면 원래의 색으로 돌아가는 현상이다. 예로 찻잔 바깥에 이런 현상을 나타내는 색소를 처리하면 따뜻한차를 마시고 있을때와 차를 다 마신 후에 찻잔색이 다르게 보일 것이다. 또이것을 벽지에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밀도가 작아지고, 이 공기가 주위 공기보다 가벼워질 때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태양
열
을 흡수하기 쉬운 장소는 그만큼 상승기류가 발생하기 쉽다.도심의 빌딩 사이나 아스팔트 땅이 노출된 지표의 상공에는 강력한 상승기류가 발생해 동체를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기 십상이다. 물론 충분한 ... ...
수천년 이어온 동양의 전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한약을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소위 법제과정이라는 것을 거치게 되는데, 약재를
열
이나 물로 씻고 불로 쪄서 독성을 제거하고 환자에게 복용시키므로 유독물질이 완전히 없어진다.한의학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나 서양의학을 전공한 사람 중의 일부는 식물약제(한약)를 먹으면 금방 간이 손상돼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
열
을 식혀주기 위해 냉각계통이 필요하다. 하지만 배기파이프와 머플러 부분도 고
열
을 낸다. 도로를 주행하다 날아다니는 비닐봉투 등이 엔진이나 배기파이프에 붙어 눌러버리는 경우도 주의해야 한다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교수 르토노(Deborah Letourneau) 박사와 필자가 중미 코스타리카의 코르코바도라는 외딴
열
대림 속에서 개미와 말벌이 경쟁적으로 매미충들을 보호하며 젖을 짜는 모습을 관찰한 적이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매미충들이 개미보다 말벌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이었다. 말벌이 뱃속에 모아둔 단물을 ... ...
"자판기 동전 분리기는 내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밀폐된 유리 공간 속에 코일로 된 필라멘트로 구성돼 있다. 필라멘트는 달궈지면서
열
과 빛을 동시에 방출하는데 뜨거울수록 전구는 더 밝게 빛난다.에디슨 이전의 과학자들은 필라멘트로 사용 가능한 물질을 찾지 못했다. 또 전구는 필라멘트가 금방 타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진공상태여야만 했다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