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연변이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돌연변이는 괴물이 아니다. 돌연변이는 단지 유전자의 염기배열이 '흔한 것들'(야생형)과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돌연변이에 대한 분석은 생물학과 유전공학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열쇠를 제공할 것이다. ...
- 1. 유전자 이상이나 염색체 숫자·순서 바뀔 때 나타나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생쥐 생식세포의 염색체에 외부로부터 넣어준 DNA를 삽입시켜 이때 DNA가 마침 중요한 유전자 한 가운데에 삽입되면 유전 암호가 중간에 단절되므로 돌연변이가 될 것이다. 이 생쥐는 외부에서 넣어준 유전자를 대대로 새끼한테 전달한다. 이와 같은 생쥐를 유전자 이식생쥐라 부른다.유전자 이식 ...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혐기호기(A/O)법의 생물학적 탈인 처리기술이 개발됐다.앞으로 미생물의 유전자 변환 등 유전공학 기술을 응용하고, 또 담체(擔体) 고정화 기술 등을 결합하게 되면,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한 처리영역을 훨씬 뛰어넘어 특수 폐수의 미생물 처리기술이 개발될 것이다.남극에서는 영하 20℃ 이하에서 잘 ...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붙여 식물체에 재도입한다는 것이었다. 식물체에 도입한 RNase 유전자는 그들이 약에서만 발현되는 정보를 가진 프로모터에 붙어 있기 때문에 오직 약의 발달 과정에서만 발현될 것이고, 약의 발달에 필요한 RNA를 모두 파괴하므로 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리라는 아이디어였다 ... ...
-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과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면역학적인 현상이나 질병입니다. 흔히 '알레르기 체질'이라는 말을 하는데, 이는 유전적으로 IgE를 잘 만들어내는 체질을 타고난 사람을 일컫는 것입니다."그러니까 알레르기 체질은 선천적인 것이라는 말이 된다. 일반적으로 IgE는 사람의 성장에 따라 특정 시기에 특정 부위에서 많아진다고 한다. ...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항체를 단일클론 항체라고 한다.이밖에도 유전자를 이용한 기술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유전공학을 이용하여 특정한 중금속과 항원·항체 반응처럼 반응할 수 있는 입체적인 단백질 구조를 만들어낸다면, 아마 대기오염물질이나 수질오염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완전하게 ...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조사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피폭자의 자녀가 1백만명이 있을 때 그중 20명(0.02%)에서만 유전적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확률계산이 보고돼 있다(유엔 방사선효과 연구위원회 보고, 1988). 방사선과 관계 없는 인체의 자연적 돌연변이에 의한 선천성 기형의 발생률이 1백만명당 약 6만내지 10만명(6-10%) ... ...
- 생물- 유리잔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임신 중의 발육 이상을 초래하고, 잘못된 형질이 그대로 손에 나타나므로 지문은 선천성 유전병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 현재 미국에서는 유아의 지문을 조사해 선천성 심장병 진단에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추정 이동경로와 관련시켜보면 한국의 강원도 경기도 지역 주민들에게는 북방계적 유전자를 가진 이들이 많고, 이것은 이들과 일본인들과의 사이에 체질적 유연관계가 많다는 사실로 받아들여도 될 것 같다 ... ...
- 멸종 천연두바이러스 보존결정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생물병기로서의 악용을 막기 위한 결정이기도 했다.이에 따라 WHO에서는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모두 해독, 언제라도 처분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었다.그러나 러시아 의학아카데미 보글로프스키총재는 이에 대해 "추가연구를 위해 2-3년 동안은 바이러스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