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첨부되기 시작한다. 비디오 카메라도 입체영상을 포착하기 위해 2개씩 달린다. 기동성을
최대
로 강조한 로봇이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탄생한다. 기동성이야말로 지식습득의 원천이라고 주장하는 한스 모라백의 사상이 관철된 테러게이터(Terregator)가 만들어졌다. 모든 첨단 장비로 중무장한 ... ...
돌비시스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잡음감소기능을 가진 돌비C형도 나와 있다. 이 방식은 2백㎐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20dB 정도까지 잡음을 줄여준다. 돌비C형 잡음감소기능은 대체로 고급 카세트데크에 채택돼 있으나 아직 대중성이 적은 편이다.또 최근에 개발된 돌비S형은 고역 주파수에서 20dB의 잡음감소효과를 나타내고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φ인 곳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 h는 (그림3)에서 보듯이 춘추분 때는 h=90-φ(천구 적도의
최대
고도), 하지 때는 h=90˚-φ+23.5˚, 동지 때는 h=90˚-φ-23.5˚가 된다.여기서 우리는 매우 중요한 공식 하나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즉 위도가 φ인 관측자에 대하여 적위가 δ인 별의 남중 고도 h는 h=90˚-φ+δ 와 같이 ...
국내에서도 태양광발전은 활기띠어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반면 태양광발전소는 입지의 제한을 거의 받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도서지역에는
최대
30KW급의 태양광발전소(마라도)가 이미 가동되고 있다.한국동력자원연구소의 정명웅 선임연구원은 "국내의 태양광발전소는 약 2천군데에 세워져 있는데 총 발전용량은 1천KW에 이른다. 여기에는 통신용인 ... ...
원숭이 약초로 새끼 성별 구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즉 암놈 한 마리는 평생에 걸쳐 겨우 10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는 반면 숫놈 한 마리는
최대
40마리까지 자신의 씨를 퍼뜨릴 수 있는 것이다. 숫놈 자식을 낳아 그 숫놈이 더 많은 손자를 퍼뜨린 암놈원숭이는 그만큼 지위가 격상된다. 따라서 지위가 낮은 암놈도 숫놈을 낳기 위해 애를 쓴다.하지만 ... ...
피플미터식 무엇이 장점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동시에 자료처리가 되므로 신속하게 시청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피플미터식 조사의
최대
장점은 개인과 세대시청률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것이나 이는 시청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① 시청자가 TV시청시 개인버튼을 반드시 눌러 줄 것인가. TV시청 ... ...
(6) 유전공학의 새로운 총아로 각광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 미지의 유전자를 해명하기 위해서 생명과학에 관한한 금세기
최대
의 국제적인 계획이라고 일컬어지는 게놈계획 이 이미 개시됐다. 게놈계획이란 궁극적으로 한 생물개체를 결정짓는 전체 유전정보를 밝히기 위한 연구다.DNA의 염기서열 속에 내장돼 있는 유전 정보가 그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합류하는 지점에서 미드호에 이르는 3백50㎞에 걸쳐 발달해 있고, 폭이 7m에서
최대
30㎞, 깊이는 1.4㎞에 이르는 거대한 협곡이다.웅장한 크기 뿐만 아니라 오랜 지구의 역사를 반영하는 다양한 색조의 지층과 각종 기이한 지형이 맑고 푸른 거대한 호수와 어우러져 별천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음식을 먹는다.캡슐은 상하 두개의 기구를 활용해 이착륙을 하게 된다. 위쪽 기구는
최대
직경이 54m인데, 발진시에는 직경 30m를, 상공에서 운행하고 있을 때에는 직경 42m를 유지한다.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아스트로필름(astrofilm)으로 만든 이 위쪽 기구에는 헬륨이 가득 차 있다.직경이 30m인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한 탐사대는 세척의 통통배를 나눠타고 낙동강하구 탐사에 나섰다. 우리나라
최대
겨울철새 도래지인 낙동강하구는 87년 하구언 댐공사 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우선 철새의 숫자가 크게 줄었으며 앞에서 지적한 대로 바다철새종이 많이 발견됐다.을숙도를 한바퀴 돈 후 을숙도 남단에서 강자도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