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명의 신비 추적, 구조식 그린다
과학동아
l
199204
알아내는 연구사업이라 할 수 있다.유전자지도 작성기술 10가지 이상인체게놈은 일직선
거리
가 약 1.5m이지만 실제로 눈으로 볼 수 없는 분자수준의 생물 유전정보물질들의 집합이다. 이렇게 미세한 물질을 분석해 유전정보를 찾아내고 염색체 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정하는 작업이 생각처럼 간단히 ... ...
드링크제 만능피로회복제인가
과학동아
l
199204
할 수 있다는 데는 대부분이 동의한다.오랜시간 밤일을 한 근로자들, 짜증나게 막히는
거리
를 장시간 운전하는 기사들, 과로 과음에 시달리는 샐러리맨들, 공부하다 지친 학생들이 애용하는 드링크지만 이를 올바로 선택하고 적절히 이용하는 문화는 정착 돼 있지 않은듯하다. 드링크라면 무조건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04
대략 2천5백만 광년으로 가장 가까운 은하인 안드로메다은하보다 12배 이상이나 먼
거리
에 놓여 있다. 이 은하는 1871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체인(P. Mechain, 1744~1804)에 의해 발견됐으며 1784년 메시에에 의해 그의 목록에 추가되었다.M104는 옆면으로 보이는 은하의 가장 멋진 예이며, 나선 은하와 타원 ... ...
(6) 유전공학의 새로운 총아로 각광
과학동아
l
199204
교잡에 따른 유전자들간의 연관 관계(linkage)를 조사하고 이를 기초삼아 유전자들 사이의
거리
를 측정함으로써 지도를 그리게 된다.1950년대에 왓슨(Watson)과 크릭(Crick)이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밝힌 이후 분자생물학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실제로 클로닝(cloning)된 DNA 단편을 이용, RFLP 지도를 그릴 수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그러나 그 실험환경은 잘 다듬어진 인공적 환경이었으므로 동네 강아지들이 득실
거리
는
거리
를 활보하기에는 무리였다. 이로부터 로봇에는 많은 기능이 첨부되기 시작한다. 비디오 카메라도 입체영상을 포착하기 위해 2개씩 달린다. 기동성을 최대로 강조한 로봇이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탄생한다.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04
엔지니어이만성씨는 서울신탁은행에서 과장대우로 일하고 있다. 학교도 망원경과는
거리
가 먼 법과대학을 나왔다. 이러한 경력의 그가 아마추어 망원경 자작자로 정상에 있는 까닭을 밝히기 위해서는 그의 어린시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양정중학 1학년 다닐 때입니다. 서울역 부근에서 성능이 ... ...
위험을 알 권리
과학동아
l
199204
공장의 폭발사고등 크고 작은 수많은 사고들을 기억 속에서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거리
에서 위험물 표시를 달고 질주하는 트럭을 만날 때마다 도화선이 연결된 거대한 폭탄을 연상하게 된다면 그리 유쾌한 일은 아니다. 안전장치가 빠진 폭발물에 안전핀을 끼우는데는 우리 모두의 큰 결심이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대해 천구의 적도는 지평선과 직교한다.( )5. 북반구 위도 Φ인 지점에서 북극성의 천정
거리
는 대략 90˚-Φ가 된다.( )6. 북반구 위도 Φ인 지점에서 천구의 북극고도 h는 -Φ가 된다.( )7. 남반구 위도 Φ인 지점에서 천구의 남극고도 h는 -Φ가 된다.( )8. 남극위의 관측자에 대해 별들은 천정을 시계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03
상륙을 감행했다. 그러나 고니는 살금 살금 접근하는 탐사대를 알아차리고 항상 일정
거리
를 유지하는 영리함(?)을 보였다. 그러나 상륙작전 결과 노획품이 많았다. 우선 청둥오리의 배설물을 접사촬영했으며, 고니가 제첩을 찾기 위해 파놓은 지름 1m 이상의 구덩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가장 큰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03
이는 태양에서 명왕성까지의
거리
보다 1백배 정도 먼
거리
이다. 그러나 이러한 먼
거리
에도 불구하고 두 별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의 주위를 돌고 있다.쌍둥이자리의 동생별(남쪽별) 폴룩스와 사자자리의 으뜸별 레굴루스를 이은 선 중앙에 게자리의 작은 사각형이 보인다. 사각형 안을 자세히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