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세계선이다. 빛보다 빠른 물체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물체의 세계선은 원뿔 안에 있다.민코프스키는 스위스에서 아인슈타인에게 수학을 가르쳤던 스승이다. 그러나 둘의 관계는 남달랐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을 자신의 물리 연구에 도움이 될 정도로만 공부했고,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지리산 벽돌집에서 발견된 수지와 박 형사의 관계, 그리고 K의 정체를 알게 된 왕 반장은 박 형사의 체포를 사건을 마무리할 때까지 잠시 미뤘다. 그리고 ... 저지른 행동에 대한 죄 값을 치러야죠. 그리고 저희 누나를 꼭 보살펴 주세요. 이제 모든 게 다 끝났네요. 죄송합니다. 반장님…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감염율이 1% 미만인 데 비해 가끔 쓰는 커플과 아예 쓰지 않는 커플은 9.9~14.5%나 됐다.“모든 콘돔은 국제 규격(ISO)에 따라 생산됩니다. 길이는 최소 160mm, 폭은 53mm, 두께는 0.03~0.09mm예요. 또, 공기를 18L 이상 불어넣어도 터지지 않는 강도를 지녀야 해요. 이런 기준은 정자와 바이러스를 모두 막을 수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발전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사물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하겠다는 것이다.임베디드 시스템은 일반 PC와 하나부터 열까지 다르다. PC는 하드웨어가 통일돼 있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은 하드웨어마다 매번 운영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나는 모습에 관심이 많습니다. 새가 날아가는 모습을 자세히 보면 날갯짓을 아래로 할 때 모든 깃털이 닫혀 넓은 막을 형성하고, 위로 올릴 때는 깃털을 벌려 그 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해줍니다. 게다가 날개 부위별 깃털의 차이, 몸의 전체적인 균형 유지 같은 복잡한 요소까지 고려해야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켜진다. 나갈 채비를 마치고 학생이 집을 나서면 자동으로 문이 잠기고 집안에 있는 모든 스위치도 꺼진다.SF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일이 5G 기술로 현실화되는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과 입체 영상도 볼 수 있다. 이런 5G 기술이 당장 상용화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일반 사인펜과 컴퓨터용 사인펜은 비슷해 보이지만 잉크 성분에 큰 차이가 있어요. 모든 색소는 빛을 받으면 고유한 파장의 빛을 다시 내놓는데, 우리 눈은 이렇게 다시 내놓는 파장의 빛을 보고 색을 구별하지요. 컴퓨터용 사인펜 잉크에는 컴퓨터가 감지하는 파장의 빛을 내놓는 색소가 들어 ... ...
- [수학뉴스] 달리기를 잘 하고 싶다면 수학에 주목하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교수와 보낭스 교수는 모든 에너지는 손실 없이 보존되고, 가속은 달리기에 영향을 주는 모든 힘을 합한 결과로 나타난다고 가정했다. 이 두 가정을 통해 이들은 달리는 사람의 속도, 추진력, 혐기성 에너지라는 세 가지 미지수의 상호 관계를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냈다. 이 세 미지수는 최대 산소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킵 손 박사에 따르면, 웜홀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은 질량이 없어야 한다. 우주의 거의 모든 물질은 작게나마 질량이 있기 때문에, 이런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은 매우 어렵다. 게다가 무엇보다도 중력에 반하는 운동을 해야 한다. 이런 조건들을 만족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지금까지 웜홀로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믿음을 한 번에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뉴턴은 공리체계를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모든 증명 과정에서도 기하학적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유클리드의 사상을 그대로 본받았다.수학의 실체그런데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공리라는 개념을 별로 안 좋아한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도 친한 매트 치버스가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