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지구온난화가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에는 대
부분
의 과학자들이 동의하고 있으며, 지금의 변동은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3 지구의 기후 평형이 깨졌다?여러 가지 요인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기후 시스템에서 어떤 한 가지라도 변화가 있게 되면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0이 아닌 숫자는 모두 유효숫자입니다. 유효숫자는 근삿값에서 반올림하지 않은
부분
이나 측정해 얻은 숫자입니다.유효숫자는 반올림을 했는지 안 했는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측정해서 얻은 근삿값에서 측정도구의 최소눈금단위 자리까지의 숫자와 반올림해서 얻은 근삿값에서 반올림한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기술까지 더해지면 리얼리티는 한 차원 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햅틱 기술은 이미 상당
부분
실생활에 활용되고 있다. ‘촉각에 의한’이란 뜻을 가진 햅틱은 기존의 시청각 정보에 촉각이나 힘, 운동감을 인공적으로 재현해 좀 더 구체적인 리얼리티를 전달한다. 최근엔 단순한 재현을 넘어서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비밀첨성대 창문은 왜 높은 곳에 달려 있을까.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몸통 허리
부분
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창문이 달려 있다. 일반 건물과 달리 창문의 위치가 높아 출입이 어렵다. 이런 이유로 첨성대가 관측소가 아니라 기원을 올리는 제단이라는 주장이 많다. 이에 일부 학자들은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주장이다. 전문가들은 지식의 통합이 스쳐가는 유행이 아닌 사회적 과제라는 데는 대
부분
뜻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먼저 방법을 찾아서 차근차근 접근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덕환 서강대 교수는 “학문 간 벽을 허물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선택이 취소되는 엘리베이터 버튼, 복잡한 전선을 묶을 수 있는 케이블타이를 포함한 대
부분
의 제품들은 1899년 미국의 특허청장 찰스 듀엘이 “발명될 수 있는 것은 이미 모두 발명됐다”고 말한 이후에 발명된 것들이다. 지금도 과연 “이미 필요한 모든 것들이 발명됐으니 더 이상 새로운 것은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좋단다.닫힌 성장판을 열어 주는 치료가 있다?성장판이 닫힌다는 것은 뼈가 성장하는
부분
이 없어진다는 말이야. 성장판이 닫힌후에는 성장호르몬 주사를 맞거나 키 크는 약을 먹어도 키가 더 자라지 않아. 어떤치료로도 닫힌 성장판을 다시 열 수는 없단다.키 크는 약 먹으면 키가 자란다?쑥쑥 키를 ... ...
Part 1. 두근두근 새학기 시작! 그리운 옛 친구, 반가운 새 친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거야. 교집합을 기호로 나타낼 때는 ∩를 써서 A∩B와 같이 나타내.두 집합을 합쳐 놓은
부분
의 집합은 ‘합집합’이라고 해. 합집합에는 두 집합에 들어있는 사람이 모두 들어 있고, 기호로 A∪B로 나타내지. 각자 소개한 내용을 바탕으로 반 친구들을 여러 집합으로 나눠 보자. 나와 같은 집합에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에너지 공급원을 점차 잃어버리기 때문이에요.태풍을 예측할 때 가장 힘을 모으는
부분
은 태풍의 진행방향입니다. 태풍이 중국으로 갈지 또는 우리나라와 일본 중 어디로 꺾일지가 중요하기 때문이죠. 여러 기상변수를 넣어 만든 모델에 외국의 결과까지 놓고 확률이 가장 높은 진로를 결정해요.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정상 근처까지 올라오면 화산의 한쪽 비탈이 불룩해져요. 인공위성으로 보면 어느
부분
이 부풀어 올랐는지 금세 관측할 수 있어요. 불룩한 비탈의 경사도가 높아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화산의 분화시기도 예측할 수 있지요. 마그마가 뿜어내는 아황산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도 예측을 돕는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