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건
생각
사색
재해
재앙
난리
d라이브러리
"
사고
"(으)로 총 4,0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일본이 자랑하던 전함 야마도(大和)와 무사시(武藏)가 있다(모두 배수량 7만여t). 일전에
사고
를 낸 미국의 전함 아이오와호(배수량 약 6만t)도 여기에 속한다. 70년대에 석유소비가 급증하면서 유조선의 대형화가 추진되어 VLCC급선(재화중량 30만t)과 ULCC급선(재화중량 40만t 이상) 도 출현하고 있다. ... ...
떨어져나간 팔을 재결합시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아르헨티나에서는 믿기 어려운 초미세(超微細)수술이 성공을 거두었다.
사고
로 떨어져 나간 팔을 완벽히 재결합시킨 것이다.종이공장에서 일하는 43세의 '쿠엘라'씨는 지난 4월 기계를 다루다가 그의 오른 손과 팔을 심하게 손상시켰다. 실제로 보통의 경우라면 그는 일생동안 다시는 정상적인 팔을 ... ...
환경보호문제 중대 이슈로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포함한 지상의 모든 생물들의 생존조건을 지속적으로 위협하는 것들이다.체르노빌
사고
로 인한 방사능은 이제 남·북아메리카에서도 검출되고 있으며 남극에서의 기름누출은 펭귄과 갈매기등을 계속 죽이고 있다. 앨래스카에서도 기름에 덤벅이 된 오리와 물개가 다수 발견되었다.또 오존구멍이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자연철학을 깊이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것이 서양과 서양과학 위주의
사고
방식에서 벗어나 동양의 전통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얻는 데 크게 도움을 받을 것이다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없게 된다. 따라서 시청하는 중에 부단히
사고
하는 습관을 의도적으로 갖도록 해야 한다.
사고
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체크해 두었다가, 방송이 끝난 후에 반드시 점검하는 자세가 바람직한 것이다.또 방송수업은 화면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시간이 길고, 선생님과 학생간에 피부로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있었기 때문에 하나의 '법칙'으로 정착된 것이다. 만약 열역학 법칙들이 특별한 연역적인
사고
의 소산이거나, 하늘에서 뚝 떨어진 진리였다면 우리는 그 법칙을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열역학 법칙의 적용범위를 넓혀 전 우주에까지 확장시키는 일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엔트로피는 변화의 ...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좀더 커져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기구가 생겨야 한다. 최소한 선사문화연구소와 역
사고
고학연구소가 세워져야 하는 것이다. 최근 대만에서는 중화민국 선사박물관을 만들기위해 매우 많은 예산을 배정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타이타닉(Titanic)호가 북대서양에서 빙산과 충돌, 1천5백여명의 목숨을 빼앗아 간 해난
사고
가 일어났다. 그 충격으로 초음파를 사용하여 빙산을 탐지하는 제안이 나온 것이다.이런 시대적 요청을 등에 업은 랑게방은 압전효과를 갖는 결정체인 수정(quartz)을 사용하여 수정 모자이크를 만들고 양쪽에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는 사실 뿐이다."일렉트로닉스 사회에 관한 그의 예측은 더욱 넓게 펼쳐진다.인간의
사고
방법은 일렉트로닉스 기술이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드에 의해 변한다. 오늘날 우리들의 문제의 밑바닥에 있는 것은 '스피드'인 것이다.당시 넓게 번지고 있던 마약 코가인 사용을 맥루한은 이 스피드와 관련시켜 ... ...
TDX-1B개통을 계기로 본 국산 전자교환기의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제어부에 중형컴퓨터를 이용한 중앙집중 제어방식을 채택해 반전자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사고
시에 전체기능이 마비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었다.80년대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급속한 개발로 인해 교환기의 제어기능을 종래의 집중제어방식에서 분산제어방식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해졌다.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