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건에서 유래됐다.keyword 5 케플러-22b 유력한 제2의 지구
지난
12월 5일 NASA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의 관찰 결과 생명체 서식권에 위치한 행성을 하나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행성이 바로 ‘케플러-22b’이다. 이번 발견을 계기로 지구와 유사한 생명체가 살고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 덕분에 당황하지 않고 실제 수술을 진행할 수 있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과학자들이
지난
7월에 공개한 무인비행기. 3차원 프린터로 나일론 가루를 쌓아 만들어 레이저로 살짝 수정한 것이다.]최근 3차원 프린터를 갖춘 병원이 늘고 있다. 오래전부터 MRI나 컴퓨터 단층촬영(CT) 같은 영상장비를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3m나 된다.여기는 경기 파주시 장단면에 있는 장단반도. 독수리의 대표적인 월동지다.
지난
12월 10일 겨울철새를 보러 30여 명이 이곳을 찾았다. 경기관광공사와 동아사이언스가 함께 주최한 행사였다. 이 지역에 있는 마을인 ‘통일촌’의 조봉연 이장이 안내를 맡았다.“여기서 내리세요.”조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자유로운 학생, 그리고 남을 배려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춘 학생을 뽑고 싶습니다.”
지난
9월 서울대 공대 학장에 취임한 이우일 기계항공공학과 교수(57)에게 원하는 신입생의 모습을 물었더니 “공부만 잘하는 학생은 더 이상 공대에 필요 없다”고 강조했다. 처음 만났을 때 큰 키가 예사롭지 ... ...
연구활동 즐기는 인재 찾아요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집단면접에서는 대인 역량도 잘 드러납니다.” 장시간 지켜본 교사의견서가 중요
지난
해 신입생 중 기억에 남는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 “먼저 말해 둘 것이 있습니다. 다수 다단계 평가 방식이기 때문에 한 사람의 입학사정관이 좋은 평가를 했다고 합격을 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방문면접한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구한 결과에서 새롭게 생긴 궁금함에 대해 다시 연구하고 보고서를 쓴 것입니다.
지난
호에서 학생들은 빛의 색에 따라 사람의 심리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학생들은 암실을 만들고 그 안에서 특정한 색의 빛을 보는 장치를 만들고 피실험자에게 여러가지 색의 빛과 빛에 의해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갈색 깃털의 펭귄, 멋지지 않나요?그래서 추위를 이기는 비법은 언제 알려줄 건데?그건
지난
달 어과동 특집 ‘겨울나기 노트’를 보세요. 그보다 우리 펭귄이 가진 놀라운 능력 하나를 더 알려 드릴게요. 우린 물속에서 사냥을 하다가 밖으로 나오는 시간이 항상 비슷해요. 일본 도쿄대학교 연구팀은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돋보이는 트위터트위터는 잘못된 정보가 빨리 퍼지는 만큼 강한 자정능력도 갖고 있다.
지난
12월 6일 한 방송토론프로그램에서는 ‘SNS의 부작용으로 신촌에서 운영하던 냉면집이 망했다’는 시청자의 주장이 소개됐다. 하지만 이는 거짓이었다. 다음날 프로그램 제작진은 트워터를 통해 “확인한 ... ...
2012년 내가 제일 잘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주인공은 바로 나로 호가 될 거예요!드디어 올해 10월에 3차 발사를 하기로 결정했거든요.
지난
두 번의 발사에서는 안타깝게도 실패했지만, 이번 발사에서는 1, 2차 발사 때 문제점을 모두 보완해서 반드시 성공할 계획이랍니다! 호기심 대장의 화성 완전 정복!큐리오시티 로봇후훗~! 나로 호에게는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해를 증발시키고 생기는 소금의 양과 비슷할 것이라고 설명했다.특히 사해의 고도는
지난
2008년 해수면 아래로 421m 이상 낮아졌는데 이는 1997년 이후 수면이 10m 이상 낮아진 것이다. 1930년까지만 해도 사해의 고도는 해수면보다 390m 낮았다. 오늘날 건조한 중동 지역 국가들이 농업 용수로 쓰기 위해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