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축제라 불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 이 대회의 꽃은 단연 대회 첫날 개막식에서 진행되는 필즈상 시상식이다. 필즈상은 만 40세 이하 전세계의 젊은 수학자 중 업적이 뛰어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수학동아에서는 필즈상 수상자를 예측하기 위해 국내 수학자 9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상세하게 들여다보기 위해 마련한 ‘글림프스360(Glimpse360)’ 프로젝트는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조만간 우리은하 별의 대부분을 담은 거대한 사진을 볼 수 있을 날을 기대해 보자. 주목하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에 등장하는 다섯 영웅은 광대한 우리은하를 배경으로 활약한다는 점 ...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빅데이터 분석은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다. 실제로 서울시 ‘심야버스’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KT 미래사업개발그룹 빅데이터 프로젝트담당 김이식 상무는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대수적 위상수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수학과 출신 인재다.“빅테이터 분석은 논리적 사고가 ...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1543년에 지동설을 발표하자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불과 반세기 뒤, 또 하나의 충격적인 발견이 알려졌습니다. 요하네스 케플러라는 독일 천문학자가 관측을 통해 행성의 궤도가 타원이라 는 사실을 발견한 ... ...
- 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1860년대 영국에서 앞으로 수많은 이론의 밑거름이 될 아름다운 방정식이 만들어집니다. 물리학자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전기와 자기에 관련된 모든 지식을 통 합해 만든 ‘맥스웰 방정식’입니다. 여러 가지 물리학 방정식을 하나로 통합했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맥스웰 방정식에는 수학자들을 ...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이 없었다면 오늘날 병원에서 많이 쓰는 X선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도 없었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프랑스 수학자 장 바티스트 조제프 푸리에가 만든 ‘푸리에 변 환’이라는 수학공식이 들어가 있습니다.DNA 배열처럼 가시광선 파장보다 짧고 미세한 구조는 눈은 물론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 ...
- [과학뉴스] 8월, ‘슈퍼문’이 돌아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 있다.과학동아천문대는 8월 10일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 ‘슈퍼문 특별 관측행사’를 진행한다. 슈퍼문에 대한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줄 강의가 마련되며, 천체투영관에서는 달 영상이 상영된다. 또한, 가장 큰 보름달을 망원경으로 직접 관측하고 핸드폰으로 촬영해 볼 수 있다.‘슈퍼문 관측 ... ...
- 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달려라 달려 로보트야~, 날아라 날아 태권브이. 정의를 위해 키운 로보트 태권, 이 세상에 당할 자 있을까보냐~!”지구를 지키는 거대로봇 ‘태권브이’는 1976년 개봉 이후 인류구원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로봇공학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태권브이처럼 강한 로봇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그리 ... ...
- INTRO.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 과학과 ‘썸’탄 수학 6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과학은 좋은데 수학은 싫어!” 이렇게 말하는 학생들, 이해합니다. 과학기자인 저희도 그랬으니까요. 하지만 과학이 실은 수학과 ‘그렇고 그런’ 사이였다는 걸 알고 있나요? 소유와 정기고의 노래처럼 수학과 과학의 관계는 항상 ‘내꺼인 듯 내꺼 아닌 내꺼 같은 너’였단 말이죠. 양자역학에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과 가장 ‘썸’을 많이 탄 과학자는 아인슈타인일 거 같네요. 그는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어요. 1896년 스위스 연방 공대에 입학해 헤르만 민코프스키 등 당 대 저명한 수학자들에게 배울 기회가 있었지만, 강의에도 잘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민코프스키조차 “아인슈타인은 내 수학 시간에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