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놀라운 속도로 발전한다. 그리고 역시 놀라운 관성에 지배된 채 변하지 않는다.
최초
의 컴퓨터 에니악(ENIAC)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의자에 앉지도 못하고 서서 또는 쭈그리고 전선을 바꿔 이어야 했다. 그 뒤를 이은 거대한 쇳덩이 컴퓨터들은 이유를 알 수 없게 배열된 수많은 스위치 배열로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위치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국내연구팀이 세계
최초
로 내놓았다.삼성종합기술원 최원봉 박사 연구팀이 그 주인공. 최박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위치제어뿐만 아니라 테라비트급(테라는 1012)인 꿈의 집적도를 ... ...
버스에 숨은 첨단과학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나라로 들어오는 비행기 중 아군과 적군의 비행기를 구분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최초
의 RFID가 탄생했다. 친구와 적을 확인하는 장치였던 셈이다.오늘날에는 RFID가 이용되는 분야는 광범위하다. 버스카드뿐 아니라 각종 출입구의 신분확인증, 또는 각종 물품의 자동물류처리에서 바코드 대신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인간복제를 반대하는 어떤 반론들도 설득력을 지니지 못한다.인간 존엄성 훼손한다?
최초
의 복제동물인 돌리는 ‘체세포복제’를 통해 태어났다. 즉 돌리를 탄생시키기 위해 6세 암양의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채취해 핵을 분리했다. 그리고 다른 암양의 난자를 채취해 핵을 제거한 후 앞의 체세포의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약재를 추가시켜 앤지옴을 개발했다. 앤지옴은 지난 3월 국내에 특허등록된 암 관련 국내
최초
의 한약처방이다. 현재 미국 등에서도 특허를 출원중이다.서양 연구 결과와 동일한 유효성분앤지옴은 어떻게 암 전이를 막을 수 있을까. 암은 여러 복잡한 단계를 거쳐 다른 기관으로 전이한다. 일단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테스트하는 탐사선 딥스페이스에 어울리는 도전 대상이라 할 수 있었다. 이는 지난 2월
최초
로 소행성에 착륙하는 미션을 성공시켰던 탐사선 니어-슈메이커의 경우와 비슷한 도전이었다. 원래 니어-슈메이커는 소행성 에로스 둘레를 돌면서 소행성을 탐사하는 일이 주목적이었다.딥스페이스 연장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그 중 미세채널에서 수 마이크로단위의 액상시료를 제어하는‘마이크로 유체공학’이
최초
의 화두다.압력차에 의한 일반적인 유체의 흐름은 채널단면의 중심에서 가장 빠른 유속을 갖고 채널의 벽으로 갈수록 점차 유속이 느려지는 포물선 형태의 유속분포를 갖는다. 하지만 수μm에 불과한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내성을 보여 다시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글리벡의
최초
임상실험에 참여했던 3명의 백혈병 전문의 중 한사람인 찰스 소여스 박사가 이끄는 UCLA의 존슨 암 센터의 연구팀에 의해 진행됐다.말기 백혈병 환자에게 내성 보여소여스 박사팀은 만성골수백혈병 말기인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주사 터널링 현미경) 같은 장치에 비하면 업적이 미미하다(STM은
최초
로 실리콘의 표면영상을 얻었다).오랜 세월이 흐르고 나면 일반적으로 실험분야의 노벨수상자 업적이 이론분야의 업적보다 좀 퇴색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워스트3으로 뽑혔지만 세사람의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석굴암의 보존작업은 일제강점기 동안 세차례에 걸쳐 일본학자들의 손으로 진행됐다.
최초
의 작업은 천장의 3분의 1이 부서져 내려 본존불의 파손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거의 완전한 해체와 복원 공사였다. 그들은 흩어진 부재를 수습하고 조립하면서 당시 근대 건축의 신재료로 등장한 시멘트를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