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피해 지역의 농작물 수확률이 40%가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이에 호주 정부는 올해 11월부터 앞으로 10년 동안 무려 4600억원을 들여서 외래 붉은불개미를 박멸할 계획 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항구가 발칵!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아라!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수 있는 것도 혈액 속 DNA 덕분이에요. 과학자들은 1μL(100만분의 1L)의 피에서도 DNA를 추출해 범인을 알아낸답니다. “딱딱한 공간은 뼈, 빨간 생명은 피. 피를 만드는 곳은 골수! 수수께끼의 정답은 골수야!”“얘들아, 이리로 와 봐!”시원이가 수수께끼의 정답을 말하자마자, 오로라는 친구들을 ... ...
- [가상인터뷰] 겨울에 작아졌다가 봄에 다시 자라는 동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알리: 너희처럼 겨울을 나는 다른 동물도 있을까?첨서: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족제비 중 일부가 겨울에 뇌의 크기를 줄인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족제비도 우리처럼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몸집이 작아 겨울잠을 잘 수 없거든요. 라자르 연구원은 “우리의 생각보다 이런 전략을 쓰는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생물 대이동을 경계하라!무역이나 여행 등으로 여러 나라 사이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외래 침입종은 크게 늘고 있어요. 동식물이 사람이나 짐과 함께 대륙을 넘나든 거예요. 이번 외래 붉은불개미처럼 말이지요. 그런데 외래 침입종을 만드는 이유가 하나 더 생겼답니다. 바로 지구온난화예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되지요. ‘밝을 명(明)’은 해를 뜻하는 ‘날 일(日)’에 달을 뜻하는 ‘달 월(月)’이 더해진 모양이에요. ‘하늘에 뜨는 밝은 것’을 가리켜서 ‘밝다’라는 뜻이 됐답니다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지구 속 화성, 서호주‘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는 지난 6월을 시작으로 두 달에 한 번씩 열리는 특별 강연이에요. 10월에 열린 세 번 ... 드론이 쓰였답니다. 강연에 참여한 유예린(대전 노은초 6)학생은 “강연을 들으니 불가능해 보였던 화성탐사가 곧 현실이 될 것 같다”고말했어요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했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홍학이 왜 한 다리로 서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비밀Part 1. 깃털Part 2. 부리, 다리Part 3.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브론토사우루스가 되살아났다?!공룡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분류가 잘못되거나 제안되었던 주장이 다시 수정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곤 해요. 그 결과 세이스모사우루스처럼 이 ...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지요. 앞으로 어떤 공룡이 새로운 이름으로 나타날지 기대해 주세요 ... ...
- Part 3. 군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상대를 찾아야 하는 거예요. 홍학은 짝짓기를 할 때 암컷과 수컷 모두 춤을 추며 구애를 해요. 지난 해, 프랑스 아를 투흐 듀 발라 연구소 연구팀은 큰홍학 암컷 50마리와 수컷 50마리가 짝짓기에 추는 춤을 관찰했어요.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홍학의 춤 동작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분석했지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나오는 열을 한곳으로 모아 높은 열을 만든 후, 건물 난방에 사용하거나 열교환기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요. 태양광 에너지 외에도 신재생 에너지로는 바람으로 전기를 얻는 풍력에너지,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이용한 조력에너지, 땅 온도를 이용한 지열에너지, 동식물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등이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