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897년 원통에 감은 얇은 주석판 위에 진동판의
작은
바늘로 음파에 상응하는 홈을 새기고 이것을 동일한 장치로 재생해 음을 내는 데 성공한다. 이것이 축음기의 시초다.현대에는 난청인 사람들을 위해 많은 장치들이 개발됐다. 양쪽 귀가 모두 신경성 난청인 ... ...
숫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Q 다음 규칙에 따라 1~4까지의 자연수로 블록을 채워 보세요. 1)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같은 수가 나와서는 안 됩니다. 2) 4개의
작은
블록(점선으로 표시)을 ...
작은
블록(점선으로 표시)을 감싸고 있는 굵은 선 안의 숫자는 굵은 선 안에 있는 5개의
작은
블록에 있는 숫자를 모두 더한 값입니다 ... ...
탄소섬유 입체 육면체 연이 하늘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2m가 넘는 육면체로 된 연을 만들었답니다.이 연은 네 면이 똑같은 면적을 가지는
작은
정사면체 1700개를 모아 만들었어요. 제작팀은 연을 가볍게 하려고 정사면체의 뼈대에 가벼운탄소섬유를 사용했어요. 또 네 면 중 두 면은 우주항공기술에 사용하는 특수한 천을 덧댔어요. 수많은 정사면체로 ... ...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왜곡이 생긴다. 이 때문에 바로 잡는 과정이 필요하다. 어안렌즈에 비해 화각이 조금
작은
아래의 파노라마 사진을 보자. 일반적 사진이 평면에 찍힌다면, 파노라마 사진은 원통에 찍힌다. 원통에 찍힌 선을 평면에 투영하면 아래 파노라마 사진 같이 왜곡이 일어난다. 투영된 사진의 중심에서 ... ...
수학이 살아 숨쉬는, 여기는 이탈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형태는 다르지만 도형의 구조는 같다는 뜻이다.베네치아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작은
섬 둘레에 말뚝을 박고 섬 자체를 건물처럼 만든 것이다. 그래서 마치 건물이 물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각각의 건물 사이에 수로가 있고, 그 수로를 건널 수 있도록 다리가 연결돼 있다. 물 위에 띄워놓은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특히나 벌레를 잡을 때 빛을 발하는데, 지난번에는 제 눈에 잘 보이지도 않는
작은
날파리를 잡아서는 저에게 선물했어요. 고양이가 주는 선물은 거절하면 안되는 법이라(순대는 선물을 싫어하는 티를 내면 의기소침해집니다) 우선 고맙게 받은 후 얼른 버렸습니다. 둔탁해 보이는 조그맣고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열을 잘 배출하지 못하면 열에 약한 전자부품이 망가지기 쉽다. 따라서 휴대전화처럼
작은
전자기기를 만드는 기업은 열을 잡는 것이 언제나 숙제였다. 답 중 하나가 바로 방열판이다. 방열판은 전자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빨아들이고 공기 중으로 발산시킨다. 열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성질인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여기에는 진화적 이유가 있다. 오래전부터 공룡이 지배하던 시기에 포유류의 조상인
작은
설치류는 공룡을 피해 다녔다. 설치류는 움직임에 민감한 공룡의 먹이가 되지 않기 위해 재빠르게 도망가기보다 가만히 있는 방법을 택했다. 얼어붙은 채 가만히 있는 것이 그들의 생존전략이었던 셈이다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떠오를 수 있었죠.수소기구는 몇 차례 폭발 사고가 있었을 정도로 위험했어요. 수소는
작은
불씨만 있어도 폭발적으로 불꽃이 일어납니다. 샤를이 처음 수소기구를 만들어 실험할 때 횃불을 든 구경꾼이 따라왔다니 큰일 날 뻔 했죠. 요즘은 다른 원소들과 만나도 거의 반응하지 않는 헬륨을 씁니다. ... ...
괴짜 수학자, 농담도 잘 하셔!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왜냐하면 1729는 두 개의 세제곱 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두 가지인 수들 중 가장
작은
수거든.1729=103+93=123+13농담 듣다 보니 어려운 수학 개념이 쏙쏙!수학자들의 농담 알고봤더니 개그맨들의 말장난 뺨치는데? 완전 재밌어! 게다가 농담 속에 담긴 어려운 수학 개념들도 머릿속에 쏙쏙 들어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