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코드마스터] 좋은 알고리즘은 빠른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정렬하는 방법이에요. 반면 퀵 정렬은 임의로 데이터 하나를 기준으로 잡은 뒤, 그보다 큰 데이터는 오른쪽으로 적은 데이터는 왼쪽으로 보내는 방법이지요.거품 정렬은 ‘옆에 있는 데이터와 크기를 비교하라’, ‘크기에 따라 순서를 바꿔라’ 등 적은 양의 명령어만 있으면 ‘일’을 할 수 ... ...
-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자극만을 받아들이게 하는 기술은 어려워요. 예를 들어 한 손을 움직이는 데만 34개의 큰 신경과 수백 개의 작은 신경이 복잡하게 얽히며 일하고 있지요. 만약 신경을 하나라도 잘못 이을 경우, 머리로는 손가락을 굽히고 싶은데 로봇팔은 손목을 반대로 돌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어요.손과 발은 특히 ... ...
- Part 3. 근육을 내 맘대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마비 환자는 이 기둥이 제 역할을 못하는 상태지요. 쉽게 말해서 뇌와 몸을 잇는 가장 큰 길이 끊어져 신경 신호가 쉽사리 지나갈 수 없는 상황인 거예요.그래서 척수 마비 재활 로봇에는 환자의 의사를 전달하는 센서와 이를 받아들이는 근육 센서가 각각 달려 있어요. 그리고 쓰지 않아 사라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아름다운 정원이 벽 곳곳을 수놓아요.특히 사랑채의 가장 높은 방인 ‘누마루’에 달린 큰 창은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서, 옆으로 연 뒤 위로 다시 밀어 올릴 수 있어요. 이렇게 창을 모두 열었을 때의 크기는 16:9에 가까워요. 지금의 와이드모니터나 영화 스크린과 같지요. 그래서 이 창을 열면 ... ...
- [교과연계수업] 한반도가 흔들~, 한반도가 깜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결국 400회가 넘는 엄청난 횟수의 여진이 찾아왔답니다. 9월 19일 저녁에는 규모 4.5의 큰 여진이 일어나기도 했어요. 1. 대상 : 초등 4학년 이상, 초중등 영재학급 학생들, 지진을 알고 싶은 누구나!2. 제목 : 한반도가 흔들~, 한반도가 깜짝!3. 수업 목표① 최근 발생한 포항 지진, 201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진원’이 지상에서 10km 이상으로 깊었어요. 이 때문에 건물이 완전히 무너지는 등의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답니다.Q4 규모 5.1과 5.8은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지진 규모는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에요. 지진 규모가 1.0 늘어날 경우 에너지는 32배만큼 커져요. 규모 5.1과 5.8은 약 11배의 에너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특별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바이러스성 전염병이 세계 곳곳에서 유행하고 있어요.최근 유행하는 전염병들의 가장 큰 특징은 ‘후진국형 질병’이라는 거예요. 후진국형 질병은 영양이나 위생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의료혜택을 받기 어려운 후진국에서 발생하는 질병을 말해요. 우리나라의 경우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국민들의 ... ...
- [도전! 코드마스터] 하노이의 탑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어느 사원에는 탑이 있어요. 다이아몬드로 만든 기둥에 금으로 만든 큰 원판 64개를 크기순으로 차곡차곡 끼워 만든 탑이지요. 옆에는 빈 기둥 두 개가 나란히 늘어서 있어요. 이 사원의 승려들은 한 명씩 돌아가며 원판을 차례대로 다른 기둥으로 옮기지요.승려들이 탑을 다른 기둥으로 완전히 옮길 ... ...
- [특별 인터뷰] 배윤혁 어벤저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적도 있고, 뱀도 자주 만나요.하지만 전 위험하다는 생각보단 여러 동물을 만나는 걸 큰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저의 모든 탐사에 참여한 슬리퍼는 끊어지기 전에 보관할 거예요.”배윤혁 연구원의 대책없는 동물 사랑, 도대체 언제부터 시작된 걸까요?“초등학교 3학년 때 캠프를 갔어요. 밤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엄청난 크기의 구덩이가 생기고, 쓰나미가 생길 수도 있지요.또한 지구의 대기에도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요.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대기 중에 있는 질소와 산소가 연소되면 질소산화물이 만들어지거든요. 이 질소산화물이 공기 중의 수증기와 반응하면 산성비가 내리지요.➊ 지구에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