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나노입자가 들어간 식품이나 식품 관련 제품은 이미
100
가지 이상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물론 이 수치는 이 단체가 직접 확인한 결과는 아니다. 식품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보고한 자료와 미국 워싱턴 DC에 자리한 ‘우드로 윌슨 국제학술센터’가 진행한 조사를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사실 ‘눈속임 마술’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짜 초능력을 보이는 사람에게
100
만 달러를 주겠다고선언하기도 했다.재미있게도 가드너 또한 마술에 상당한 재능을 보인 아마추어 마술사였다. 그의 칼럼에서도 때때로 수학적인 마술 트릭을 소개하곤 했다. 수학자로서는 알 수 없고, ... ...
2020년 글로벌프론티어연구, 인간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장기 대형 국책연구 사업이며 올해 7개 후보군 가운데 최종 선정된 연구과제 3개는 연간
100
~300억 원씩 9년간 지원 받는다.최종 후보로 올라온 과제들은 미래 먹을거리라는 측면뿐 아니라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기에도 충분하다. 후보군 가운데는 현실과 가상을 통합하기 위한 인체감응 솔루션이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width="
100
"> 탐구 내용을 발표할 수 있는 곳 전국과학전람회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주최하고 국립중앙과학관(www.science.go.kr)이 주관하고 있다. 매년 개최하는 전국과학경진대회로서 자연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다. 바로 경기장의 고도다. 남아공에 있는 월드컵경기장은 모두 10개로 그중 6개가 해발
100
0m를 훌쩍 넘는다. 6월 17일 아르헨티나와의 본선경기가 열리는 요하네스버그의 사커시티 스타디움은 해발고도가 설악산(1708m)보다 높은 1753m나 된다. 또 16강전과 8강전에서도 고지대 경기장이 기다리고 있다.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확인됐다.해군에 함정을 공급하는 국내 한 조선회사에서는 TNT
100
kg이 잠수함 선체 아래에서 폭발했을 때를 가정한 실험이 진행되기도 했다. 그런데 당시 실험에서는 선체 바로 아랫부분에서 폭발이 일어났을 때, 또 공진이 발생했을 때 선체 중앙에 가장 큰 충격이 전해지는 ... ...
4곳으로 늘어난 영재고 전형 분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면접을 통한 인성 평가라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사정관제로
100
% 선발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신입생 정원 150명 모두를 ‘입학사정관 중심 과학영재 전형’으로 선발한다. 지난해 신입생 정원의 30%를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 것과 비교하면 큰 변화다. 이는 일반 전형과 ... ...
무시무시한 공룡 멸종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당시 멕시코에 지름이 10㎞인 운석이 초속 20㎞의 속도로 땅에 부딪혔어요. 그 결과 지름
100
㎞, 깊이 25~30㎞의 구덩이가 생겨서 지각이 거의 뚫렸지요. 이 때의 충격으로 지난 달 칠레에서 일어난 지진보다 수십~수백 배나 강한 규모 11의 지진이 발생했고, 수천㎞ 떨어진 곳까지 쓰나미의 피해를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 비용은 2003년 13년 만에 완성된 인간게놈프로젝트에 들어간 27억 달러(약 3조 원)의
100
만 분의 1도 안 된다. 처치 교수는 “이 자리는 개인게놈이 밝혀진 사람 중 다수가 한곳에 모이는 마지막 기회”라며 “내년에는 수천 명에 이를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2007년 자신의 게놈을 해독해 이듬해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완벽하게 밝혀냈다. 그래야 제대로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이코이즈의 DNA 염기는 약
100
만 쌍에 달한다. 이어 마이코이즈의 게놈과 동일하게 복제하기 위해 퍼즐처럼 DNA 조각들을 맞춰 완성했다. 인공 게놈을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은 얼마만큼 정확한 순서대로 DNA 조각들을 잘 꿰맞추느냐에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