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TV as the Most Important and Newest Technology?
과학동아
l
201005
구자랏 지방에서는 인도의 음악과 춤 영상을 방송하는 ‘치트라기트’라는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었는데, 이 방송은 구자랏 문자로 자막이 나갑니다. 방송이 시작된 지 6개월 만에 시청자들이 글을 읽고 해석하는 능력이 작지만 의미 있게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물론 많은 경우에 TV는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리듬에 몸을 맡겨 봐!춤은 음악을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이 다른 신체 활동과의
큰
차이다.그래서 몸을 움직이는 것만큼이나 음악을 느끼는 감성적인 부분이 무척 중요하다. 그렇다면 느낌 있는 춤을 추는 방법은 뭘까?음치와 몸치는 모두 뇌의 협응 능력과 관련이 있어요. 음악에 맞춰 입을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수학동아
l
201005
모든 기계에 쓰인답니다.마리 엔느몽 카미유 조르당프랑스의 수학자 조르당은 군 이론에
큰
업적을 남겼다. 집합의 임의의 원소 사이에 덧셈이나 곱셈과 같은 어떤 연산이 이루어졌을 때 그 결과가 다시 이 집합에 속하면 수학에서는 이 집합을 군이라고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05
많을까? 피보나치 소수는 수열의 뒤쪽으로 갈수록 희귀해진다. 지금까지는 발견된 가장
큰
피보나치 소수는 81839번째 있는 수로 17103자리의 수다.다함께 찾는 메르센 소수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럿이 함께 메르센 소수를 찾는 계획이 있다. 메르센 소수를 찾기 ... ...
마피아 조직의 싸움
수학동아
l
201005
코사노스트라 “그, 그런데 도형아, 우리 경찰 부를까?” “선생님도 참. 방금까지
큰
소리 치셨잖아요.” 두 사람 뒤에 중절모를 쓴 사람이 나타난다. “이렇게 위험한 곳엔 무슨 일로 오셨죠? 뭐 하는 분들이신가요?” “으악! 저리 가~ 코사노스트라. 이 살인마!” 당황한 도형이 손을 휘두르며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
수학동아
l
201005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도 어려웠지요.사실 B가 매달 1000만 원을 벌 수 있었던 것은 위험이
큰
일을 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A는 위험하지 않은 일을 하며 월 300만 원씩 벌었던 것이고요. 이처럼 미래의 위험까지 고려한다면 B는 A보다 수입이 적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A는 단순히 월급만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뼈 화석이 나올 가능성이 높지요. 이웃인 일본에 중생대 지층이 거의 없는 것과 비교하면
큰
장점이에요.더구나 한반도는 중생대에도 지금처럼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 사이의 길목에 위치해있었어요. 그래서 아시아에 살던 공룡이 아메리카로 퍼져 나가는 과정을 알게 해 줄 것으로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04
된 일이 아니다.17~18세기 이전에 과학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제 자연 현상이 아니라 가상의 대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이유로 수학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수학에서 정삼각 형은 세 변의 길이가 정확히 같다고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04
한다고 비웃자 자연을 관찰해 올리브 풍년이 들 해에 올리브 짜는 기계를 모두 사들여
큰
돈을 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탈레스는 기원전 585년에 리디아와 메디아사이의 전쟁을 멈추게 한 일식을 예측했다고 한다.과학데카르트는 뛰어난 능력으로 과학에서도 여러 분야에 업적을 남겼다 ... ...
의뢰 2 도박으로 날린 돈을 찾아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04
확률로 근접한다는 이론이다. 이에 사람들은 복권추첨에서 많이 나오지 않았던 13이
큰
수의 법칙을 따르기 위해 다음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린다. 하지만 조셉 베르트랑의 말처럼 13이 나올 확률은 언제나 똑같다. 절대로 이런 논리에 현혹돼서는 안 된다.한탕만 씨 정신 좀 차리셨나요?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