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76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암 완치 가능해질까…간암환자 92.6%서 나타난 핵심 유전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반대로 간암을 앓는 쥐에게서 톤이비피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에는 암 조직의
크기
가 줄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새로운 간암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간암 환자에게서 과발현돼 있는 톤이비피 유전자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치료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다. 권 교수는 “그동안 ... ...
신체 부담 없이 심장에 페이스메이커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7
위한 보조장치, 일명 ‘페이스메이커’ 이식 수술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크기
가 크고 배터리 수명도 수년 정도에 불과해 자주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등 인체에 적잖은 부담이 돼 왔다. 국내 연구진이 전력 소모가 적고 부피도 작은 심장보조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다. ... ...
금강에 사는 민물고기 ‘종어’에 사례금 30만원 걸린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금강에 방류했다. 그리고 최근 금강에서 포획한 종어의
크기
가 과거에 방류한 것보다
크기
가 작은 개체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자연에서 새로 태어난 개체로 추정하고, 어미 종어를 찾기 위한 포스터를 제작 및 배포했다. 포스터에는 종어의 외형 특징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다. 얼굴에 수염 ... ...
400kg 참치 잡혔다
팝뉴스
l
2018.04.15
노스캐롤라이나 주정부가 공식 인정했다. 챔버스가 잡은 대물이 주에서 잡힌 최대의
크기
의 참다랑어라고. 지금까지 잡힌 가장 큰 참다랑어의 무게는 1496파운드 (679kg)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세포벽을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원형질 연락사가 세포 사이 미세한 구멍을 통해
크기
가 큰 물질도 직접적으로 전달 및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원형질 연락사는 세포간 물질을 교환하는 통로이자,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망인 셈이다. 겨울이 되고 식물이 받을 수 있는 햇빛의 양이 줄어들면 ... ...
[짬짜면 과학 교실] 칠백 년을 기다린 연꽃
2018.04.14
두 조건 말고도 햇볕을 받아야 식물은 성장하면서 살아갈 수 있어요. 씨앗의 모양과
크기
는 각양각색이지만 대부분의 씨앗은 단단해요. 그것은 번식에 성공할 때까지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목적이에요. 싹이 트면서 자라난 식물은 꽃을 피워 곤충을 불러들이거나 바람을 이용해서 수정에 성공해 ... ...
[특별 기고] 우리는 왜 탐험을 해야 하는가?
2018.04.12
사실을 깨달았다. 지구사랑탐사대 현장교육에서 대원들에게 매미 탈피각의 모양과
크기
에 따라 종을 분류하는 방법을 알려 주고 있다. 4월 14일 발대식을 시작으로 올해 지구사랑탐사대의 활동이 시작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굴을 과감히 벗어나려고 할 때 예상하지 못했던 해결책을 찾을 수 ... ...
[2018년 필즈상] 환호와 충격 안긴 연구로 후보에 오른 게오르디 윌리엄슨 교수
수학동아
l
2018.04.12
이뤄진 군(리 군)에 대응하는 ‘단순가군’을 하나의 빌딩으로 봤을때 단위블록의
크기
와 모양이 어떤지를 특정 공식(카즈단-루스즈티그 다항식)으로 알 수 있다는 겁니다. 많은 수학자가 이 추측이 옳다고 믿어 왔는데, 윌리엄슨 교수가 틀린 예를 찾은 것이지요. 수학자를 환호하게 한 건 ... ...
이성 유혹하는 화려한 외모...종의 몰락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약 8400만년에서 6600만년 사이에 모두 멸종한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암수간
크기
와 형태 차이가 큰 종의 경우 100만년마다 멸종할 확률이 0.64로 차이가 작은 종(0.06)보다 훨씬 높았다. 스미스소니언 연구소 고생물학과 진 헌트 박사는 “암수간 차이가 많은 종은 차이가 가장 적은 종보다 10배 빠르게 ... ...
바다에 사는 코브라, 바다뱀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4.11
반면 바다에서만 서식하는 바다뱀은 마찰력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대부분 배의 비늘
크기
가 등 쪽과 별 차이가 없다. “대부분의 생물들이 진화를 거듭하면서 바다에서 육지로 서식지를 옮겼지만 바다뱀은 반대다” 국내 해양파충류 전문가인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김일훈 박사의 말이다. 그는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