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습
연구
면학
스터디
학업
수업
글공부
d라이브러리
"
공부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여성과학자들 기지개 켜고 일어서는 중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배구선수로 활약했다. 실력은 키가 10㎝만 컸어도 그 방면에서 대성했을 정도. 하지만
공부
도 소홀히 하지 않았고 수학과 과학을 좋아했단다. "특히 화학에 남다른 재미를 느꼈어요. 결국 집안의 조언도 있고 해서 화학자로의 길을 택했지요. 과학적 적성을 찾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다양한 분야에 ... ...
천재의 조종법, 프로그래밍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사람이 위에서 열거한 컴퓨터 언어를 모두
공부
해야 할 필요는 없다. 컴퓨터 언어를 모두
공부
해야 할 사람은 컴퓨터 언어를 전공하는 사람이나, 거기에 특별한 흥미가 있는 사람이어야 할 것이다. 세계 여러나라의 모든 언어를 다 알지 못해도 영어 하나만 좀 할 줄 알아도 세계 여행을 떠날 수 있다. ... ...
세계를 변화시키는 거대 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것이 있읍니다. 달에 인간이 상주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각국의 젊은이들이 함께
공부
하고 연구해 나간다는 구상이죠. 21세기 전반부에는 우리는 달에 이주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에는 화성으로 이주해 가게 될 것입니다." ━ 태양 에너지 이용은 어떤가요? ... ...
컴퓨터와 교육 컴퓨터 선생님은 훌륭하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 개인지도형(Tutorial)의 한 예를 들어보자.(그림 1) 고등학교 물리에 있어서 일(work)을
공부
하는 장면이다. 이처럼 컴퓨터는 일반 교사들이 강의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과 같이, 미리 프로그램된 교재 내용을 대화식 터미널의 화면에 제시하게 된다. 이경우 통상 일반적인 사실 ... ...
과학교육, 이대로는 안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과학 및 과학 교육, 과학사, 과학 철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서 계속 새롭고 중요한 것을
공부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또 현장에 바탕을 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간과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은 국가와 사회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과제이다 ... ...
머리가 좋다는 것은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있다.학교교육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이 보편적인 부분이다. 다만 최근의 시험
공부
라는것은 반드시 그렇게 되어있는 것은 아닌것이 아닐까. 예를들면 수학은 암기문제이다라는 교육방침을 내세우는 사람이 있다. 수학문제를 여러가지 패턴으로 나눠 각각 그것을 푸는 방법을 암기시키는 ... ...
일본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그는 당시 대부분의 학생이 배운 것을 응용하는 데 매달렸던 것과는 달리 화학이론부터
공부
하기 시작하였고, '코또'대학의 교수들은 이러한 그의 개별적인 연구를 적극 격려해 주었다. 결국 이러한 자유롭고 독자적인 연구 분위기 속에서 그의 뛰어난 업적이 탄생되었던 것이다. '후꾸이'는 ... ...
감정은 어떻게 육체에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불안 좌절은 치명적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유사이래 수천년동안 웃음과 밝은마음이 건강에 좋다고 얘기돼왔다. 이미 기원전 24세기에 이집트에 ... 보다 잘 자기 감정관리를 할수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설크'라는 학자는 말했다. "이
공부
를 하는 학자는 생물학의 시인들입니다"(외지에서 ... ...
엔지니어 푸대접은 이제 옛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거쳐 제코스를 찾은 최고경영자. 대우통신의 박성규부사장도 미MIT에서 전자를
공부
한 엘리트다. 제철화학의 김찬욱사장은 서울대 기계공학과, 대우정밀의 최영섭부사장은 서울대 조선학과 출신이다. 이공계 출신중역이 너무 많아 일일이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도다. 럭키금성의 서울공대 ... ...
민족운동으로 싹튼 과학 저널리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역사를
공부
하는 분들이 아니라도 '처음'이 갖는 뜻에 대해 누구든지 관심이 크게 마련이다. 1883년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신문인 '한성순보'(漢城旬報)에 대한 관심은 신문사를 연구하는 사람들 뿐 아니라 일반 호사가들에게도 심심찮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과학기사 많이 다룬 최초의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