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해설
해명
변명
번역
이야기
브리핑
d라이브러리
"
설명
"(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우에하라가 구속은 느리지만 회전수가 높은 공으로 타자들의 헛스윙을 유도한다고
설명
했다.그렇다면 회전수가 적을수록 나쁜 직구일까. 그렇지는 않다. 회전수가 적은 직구는 회전수가 많은 직구에 비해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타자가 공의 윗부분을 때려 땅볼타구를 만들게 한다. 실제로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있음을 증명했다. 보어의 모형은 뤼드베리가 발표한 불연속적인 수소 스펙트럼도 정확히
설명
했다. 또한 수소원자의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최소한의 궤도 반지름이 있고, 이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 반지름을 보어 반지름이라 부른다. 즉 보어 반지름을 따라 원자핵을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집에 있는 세포들 사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모니터링 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설명
했다. 동물 실험 대신할까올갠 온어 칩 기술은 제약회사에서 특히 관심이 많다.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동물과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독성과 안전성 검사가 필수인데 이때 막대한 비용이 든다. 신약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고교 과정에서 굴절률(n)은 광속(c)을 특정 매질 안에서 빛의 속도(v)로 나눈 값이라고
설명
한다. 굴절은 빛이 방향을 꺾는 것인데, 이것은 매질에 따른 빛의 속도 차이 때문에 생긴다. 따라서 광속과 매질에서의 빛의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꺾이는 정도를 알 수 있다.그런데 이것은 완벽한 정의는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자연에 있는 물질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만든 것일 뿐”이라고
설명
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가 자주 하는 말이 떠오른다. “자연이 만든 물질과 화학이 만든 물질이 도대체 뭐가 다른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부터 인공과 천연 첨가물의 구분도 없앨 계획이다.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됐어요.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나타나는 빛인 ‘지진광’의 원리를
설명
했거든요. 지진광은 큰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밝은 빛이 짧은 시간 동안 나타나는 현상을 말해요. 2008년 쓰촨성 지진과 2009년 이탈리아 라퀼라 지진 때 목격됐지만 모든 지진에서 보이진 않아요.지진광이 ... ...
[생활] 뇌섹남들은 수학 문제를 푼다?! 뇌섹시대 문제적남자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두뇌 계발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
했다.완벽한 협동 플레이가 돋보인 북한 수재 문제출연자들이 문제를 풀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는 웃음이 나온다. 출연자들은 자존심을 걸고 문제를 풀기 위해 묘한 신경전을 ... ...
[참여] 우리 학교 수학축제로 놀러 오세요! 호곡중 수학원정대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자료를 활용한 수학 전시물 만들기는 살아있는 수학을 경험하기에 좋은 활동이다”라고
설명
했다.호곡중학교 수학 축제 BEST 4!이번 수학축제의 가장 큰 무대인 호곡관으로 갔다. 이미 호곡관 내부에는 교내 학생은 물론이고, 인근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온 학생과 교사 등 수학을 즐기러 온 많은 ...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반복횟수는 새 집 후보지에 대한 지지자 확보에 중요해요. 꿀벌 무리들은 정찰벌들의
설명
을 듣고 난 뒤 맘에 드는 곳을 골라 지지하거든요. 마치 반장 후보의 연설을 듣고 내가 선택할 반장을 결정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8자 춤을 반복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훨씬 더 많은 정찰벌들이 후보지를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푼 몸속 시계의 원리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생기는 거지요.김 교수가 개발한 모형으로 이 생체 리듬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모형에 음성피드백을 추가할 때마다 리듬을 만들 확률이 높아지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지요. 즉, 음성피드백은 하나가 있을 때보다 여러 개가 있을 때 더 안정적인 리듬을 만들어 낼 수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