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지 않고 그린 코뿔소가 세상을 속이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3 원 안)이 있고 중세기사처럼 철갑을 두르고 있으며 다리엔 비늘이 있는 등 실제 모습과
차이
가 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세기 동안 사람들은 당연히 코뿔소가 뒤러가 그린 것처럼 생겼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과학기술자의 고뇌 표현뒤러가 사실적인 화풍을 개척한 데에는 금세공사인 ... ...
새의 날개는 빨리 달리기 위한 것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속하는 날지 못하는 새) 새끼들의 뛰는 양상과 속도를 측정했다. 날개의 유무가 어떤
차이
를 내는지 관찰하기 위해 일부 자고새 새끼의 날개를 잘라냈다. 그 결과 날개가 있는 자고새 새끼가 날개가 없는 자고새 새끼보다 경사진 비탈을 훨씬 더 잘 기어올랐다. 물론 날개는 가파른 비탈을 기어오르기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정도인 것이 보통이다 비교적 긴 것을 편모라 하여 따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구조에는 큰
차이
가 없다 그 작용은 주위의 물에 힘을 미쳐 이동운동을 하는 외에도 호흡이나 필요하지 않은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섬모의 운동은 거의 모두가 직선으로 뻗쳤다가 부드럽게 굴곡하는 왕복운동으로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물려받기 때문에 유전정보가 100% 같지는 않다. 외모도 원본과는
차이
가 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한다.그렇다면 복제인간을 ‘시간차가 벌어진 일란성 쌍둥이’가 아니라 ‘시간차가 벌어지고, 서로 다른 세포질을 가진 일란성 쌍둥이’라고 불러야 정확할 듯하다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정성적(定性的)인 성질에 있어서 보통의 물과 거의 다르지 않지만, 정량적으로는 큰
차이
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적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낮다 생물의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가 초콜릿 탐닉은 생리적 반응이 아닌 문화적
차이
에서 비롯된 것임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달콤한 유전자’의 피할 수 없는 유혹초콜릿 중독이 근거 없는 것이라면 우리는 왜 달콤함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는 것일까. 가장 설득력 있는 대답은 ... ...
지질학자와 떠나는 온천 탐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해롭지 않은 지하에서 솟아난 물이다. 25℃의 물이 따뜻한지, 또는 차가운지는 개인적인
차이
가 있다. 일반적으로 25℃의 물이 그리 따뜻하다고 느껴지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온천법에 수온 25℃ 이상이 돼야 한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기준이 필요했기 때문이다.일본의 온천법에도 수온의 기준은 2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63세 여성이 출산하는데 성공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현재 자보스 교수와는 의견
차이
로 결별했고 의학계에서는 제명당한 상태다.클로나이드는 외계인이 인류의 기원이라고 믿는 종교단체 라엘리안 무브먼트가 인간복제를 추진하기 위해 세운 생명공학회사다. 전직 언론인 출신인 라엘을 중심으로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개념부터 적용시키기가 쉽지 않다. 복제된 인간과 원본인 체세포 제공자 사이에 나이의
차이
가 다양하기 때문에 혼란이 야기된다. 예를 들어 복제인간과 원본이 나이 차가 얼마 나지 않는다면 유전적 쌍둥이인 이들을 형제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나이차가 크면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더 어울린다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염기서열은 사람과 98.77%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고유의 특성은 단지 1.23%의 게놈
차이
에서 나온다는 의미다.이처럼 원숭이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기 때문에 2000년 1월 미국 오리건 영장류연구센터와 오리건 건강과학대학 공동연구팀이 ‘테트라’라는 이름의 암컷 원숭이를 복제한 것은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