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카시니호는 토성에 이르기까지 7년 동안 35억km 거리를 여행했다.그리고 앞으로 4년간 고리와 31개의 위성에 대한 광범위한 탐사가 벌어진다. ... 존재하는 복합단백질이며, 아미노산 외에 당 · 인산 등도 포함한다분자량은 4만 6,
000
으로서 난단백질의 54%를 차지하며 물 · 묽은 염용액 · 산 및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가정했을 때 터널 개통 후 북한이 대륙을 연결하는 육로를 개방하지 않는다면 2
0
4
0
년 이후 터널 이용 승객 수와 화물량이 증가하지 않아 경제성을 담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상당한 주목을 받는 중”이라고 한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미 경제전문지 ‘비즈니스2.
0
’ 은 사회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사회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을 2
00
3년 최고의 신기술로 선정했을 정도다. 이 기술을 통해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기업 네트워크에 대한 컨설팅이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점토판에 새겨진 기록과 다른 자료를 종합해 조사한 결과 탑은 7층이었고 그 높이가 약 9
0
m에 달했으며 모두 8천5백만개의 벽돌이 쓰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설로 내려오는 바벨탑이라고 할 만한 규모다.이제 바벨탑이 우주에서 발견된 이유를 알아보자. 사실 ‘우주 바벨탑’은 우리은하에서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확률의 2만배다. 실제 1992년 6월 랜더스 부근에서 규모 7.5인 강진이 발생하고 3시간 뒤 4
0
km 떨어진 곳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뒤따랐다.그렇다면 여진은 왜 일어날까. 단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지각이 변형되면서 내부에 응력(stress)이 쌓인다. 그러다 응력이 단층의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差周波數)를 일정한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증폭한다 은하계 주변에서 지름 약 5
00
만 광년 범위의 은하가 이루고 있는 무리 국부은하군이 라고도 한다 국부은하군이 라고도 한다 약 2
0
7R의 성운 중 7개의 나선상 성운(우리 은하 · 안드로메다 성운 · 삼각자리 성운 등), 3개의 불규칙 성운(대소의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이의 전파 이동선이 태양과 가까울수록 전파가 점점 느려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197
0
년대에는 샤피로 시간지연 현상이 화성 궤도선인 마리너 6호와 마리너 7호를 이용해 확인됐다. 또한 화성착륙선 바이킹이 활용되기도 했다.가장 최근의 검증은 2
00
2년에 이뤄졌다. 이 실험은 이탈리아 물리학자가 ... ...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난해말 레이저 디스플레이의 핵심이라고 하는 청색 고체 레이저 개발에 성공했다. 2
000
년 LG전자와 공동 개발에 착수한 이래 3년만에 얻은 성과였다.“고출력 청색 레이저는 빔주사 방식으로 기존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방식보다 훨씬 크고 선명한 화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컴컴한 연구실 ... ...
0
4. 드라마 속 사랑 과학으로 다시 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다. 영국 뉴캐슬대 크레이그 로버트 박사 연구팀은 영국과 체코에 사는 19-33세 여성 5
0
명을 대상으로 생리 후 8-14일의 가임기간인 배란기와 그 이후에 한번씩 사진을 찍었다.그리고 무작위로 뽑은 남녀 각각 1백25명에게 같은 여성의 두 사진 중 어느 쪽이 더 매력적인가를 물어봤다. 그 결과 51-59%의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물질은 무엇일까를 생각한다. 그러면서
0
.13μm의 선폭을 갖고 있는 마이크로의 세계에서 1
0
억분의 1m인 나노세계로 눈을 돌린다. 나노 크기의 저장매체를 활용하면 실리콘 반도체 기억용량이 일반인의 상상을 훌쩍 넘어설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1997년부터 진행해 온 창의적연구진흥사업단을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