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912건 검색되었습니다.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
2016.06.03
동물에게 미치지 못한다. 2014년 미국 록펠러대 신경유전학연구소 레슬리 보스홀 교수
팀
은 사람의 코가 후각 수용체 396개를 조합해 1조 가지에 달하는 냄새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냄새를 가장 잘 맡는 동물인 코끼리는 후각 수용체가 1948개로 사람의 5배에 이른다. 이 때문에 전자코 ... ...
20분만에 지카바이러스 진단하는 키트 개발
2016.06.02
수 시간에서 수 일까지도 걸렸다. 배판기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선임연구원
팀
은 지카바이러스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유전자재조합해 만든 뒤 이를 이용해 면역진단키트를 개발했다. 감염의심 환자로부터 피 한 두 방울을 채혈해 진단키트에 넣으면 20분 만에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난 권영관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연구위원(RI 실험장치
팀
장)은 “이론적으로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위원소(핵종)의 종류는 약 1만 개인데(현재까지 자연계와 실험실에서 발견된 것 포함), 라온은 그 중 80% 이상을 만들 수 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 ...
환자 목숨 위협하는 ‘패혈증’ 진단 손쉬워졌다
2016.05.30
바이오마커로는 불가능하던 진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한 패혈증도 진단할 수 있다. 연구
팀
은 “새롭게 개발한 바이오마커 기술은 빠르고, 예전에 진단할 수 없던 패혈증까지 진단할 수 있다. 또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독점할 수 있어 경제성 역시 뛰어나다”고 밝혔다.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현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사진)
팀
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단백질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단백질 위치 파악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우리 몸 속 단백질은 무질서하게 존재하지 않고 각자 정해진 위치에서 맡겨진 역할을 ... ...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30
“올해 탐사를 열심히 해 볼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어요. 또한 ‘아꿍펙토리’
팀
의 강창원 대원(학부모)은 “아이와 함께 개구리도 잡고, 제비도 보는 탐사가 무척 재미있다”며, “앞으로 열심히 다니며 아이와 즐거운 탐사를 하고 싶다”고 말했어요. 지사탐 활동이 생물들을 지키는 데 큰 ... ...
구름 탄생의 비밀…산업혁명 이전엔 구름이 더 많았을 수 있다
2016.05.29
환경을 연구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페데리코 바이안치 스위스 폴쉐르연구소 연구원
팀
은 기존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구름 생성 과정의 비밀을 풀어내고 그 결과를 ‘사이언스’ 27일자에 발표했다. 대기에 가득한 에어로졸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푸는 문제는 대기과학 분야의 오랜 숙제로 ... ...
1억4천만$ 배상 판결 받은 헐크 호건, 그의 조력자는 바로 OO!
2016.05.29
진행하려면 더 많은 자금이 들어갈 것입니다. ● 헐크 호건을 도운 비밀의 태그
팀
멤버는? 그런데 얼마전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재판 과정에서 헐크 호건측을 비밀리에 지원한 익명의 대부호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는 바로 페이팔 창업자, 실리콘밸리 내 최대 파워 인맥 ‘페이팔 ... ...
[화성 최대근접 현상] 화성에 정말 화성인이 있을까?
2016.05.27
장난감처럼 다루는 모습이 위협적이라기 보다는 우스꽝스럽게 그려집니다. 1996년
팀
버튼 감독의 화성침공. 상식을 뒤집는 화성인들의 행동을 통해 정치와 사회에 대한 다양한 풍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걸작입니다. - 화성침공 제공 1990년대 당시 바이킹이 촬영한 사진들을 바탕으로 화성 표면을 ... ...
차세대 이차전지 효율 획기적으로 높였다
2016.05.24
향상시킬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사진)
팀
은 리튬-이온 전지에 쓰이는 새로운 액체 촉매를 개발하고, 이를 전지에 적용해 효율을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미래형 전지로 각광받고 있는 리튬-공기 전지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