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케이블TV와 통신위성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인공위성을 발사하면, 그위성의 궤도운동주기(軌道運動週期)는 지구의 자전(自転)주기와
꼭
같아진다.지구표면에서 보는 그 위성은 지구표면과 똑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마치 하늘에서 정지하고 있는것 같이 보이게 되는 까닭으로 그러한 이름이 붙은 것이다. 이 위성은 사실은 정지하고 있는것이 ... ...
신깐센은 왜 2등이 되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거듭하여 계획할 수 밖에 없었읍니다. 또 그 이후 국철을 둘러싼 환경도 '좁은 일본,
꼭
그렇게 급하게 가야하나'라는 유명한 표어로 대표되다 시피 기술개발의 역점은 스프드보다 안전과 환경보전 이라는 측면에 주어졌읍니다"이렇게 '마루야마'씨는 회고한다.결국 스피드를 결정했던 것은 기술력이 ... ...
민물고기, 디스토마와 중금속 오염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5분이면 죽고 70℃에서는 30분이면 죽어 버린다.따라서 민물고기는 회로 먹을 것이 아니라
꼭
끓여 먹거나 구어 먹어야한다.일부에서는 식초가 약이 된다고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안전 한것처럼 여기고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는 예가 있지만 이것은 전혀 근거가 없으며 매우 위험하다. 왜냐하면 ... ...
1천명 중 한명은 수퍼맨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그러나 XYY 형은 전혀 보통의 사람들과 다를 점이 없다. '난코우' 교수는 말한다."이점은
꼭
강조되어야 한다. 연구에 있어서 처음에는 이상 만이 보고된다. 그런데 그것은 때때로 이상이 없다고 정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XYY 의 경우도 그 전형적인 예이다."XYY 남성을 보는 시각은 지금부터라도 변할 수 ... ...
오염된 강물, 되살릴 길은 없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것으로 기대된다.하수도의 보급확대와 하수 종말처리장의 증설은 수질오염을 막기 위해
꼭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하수도 보급률은 84년 말 현재 8%에 불과하다. 대도시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양이 막대하여 우리나라 하천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음을 볼 때 하수도 보급률의 증가는 하루속히 ... ...
현대선박해양연구소(HYUDAI MARITIME RESEARCH INSTITUTE)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시험할 계획이다.모형선이란 실제로 건조하여 운항할 선박의 30~40분의1로 축소하여
꼭
같게 만든 것이다.일본에서 실험운항 중인 3만 5천 t급 신형 컨테이너선을 모형으로 만든다면 선체 길이가 5m쯤 된다.이런 모형선과 프로펠러 시험을 통해 85년에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기존의 광석·석탄전용선에 ... ...
생명의 기원과 진화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진화는 생물의 유전을 장악하고 있는 DNA분자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DNA는 스스로와
꼭
같은 유전물질을 계속해 만들어내지만 때로는 복제착오를 일으킨다. 이런 복제착오가 박테리아에서 사람에 이르는 진화를 가능케 한 것이다.이 생물진화에 관해 최근 수년동안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그것은 ... ...
간질환에서 해방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간암이다. 위암이나 다른 장소의 암이 간에 전파되었다면 이를 간암으로 부르지 않는다.
꼭
불러야 될 경우 전이성 간암이라고 부른다.간암의 원인이 되는 암유발인자는 여러가지가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가장 연관성이 깊고 중요한 것은 역시 B형간염바이러스의 감염이다.우리나라의 통계 및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변동하고 있다.재미있는 현상은 선신세에 아메리카 대륙 서쪽연안을 형성한 융기와
꼭
닮은 융기현상이 이 필리핀에도 생겼다는 지질학자의 설이다. 그것을 뒷받침 하듯 이 두지역에는 태평양이라는 광대한 대양이 사이에 가로 놓여 있는데도 이상하게도 닮은 암석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자연의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라는 논문을 쓴것을 위시하여 평생을 이 방면의 이론연구에 바쳤다. 그가 탄생한후
꼭
백년이 지났을때 소련은 마치 그의 생신 백주년을 기념이라도 하는듯이 인류최초의 인공위성 '스프트닉'(Sputnik) 1호를 1957년 10월 4일에 날리는데 성공 하였다. 1882년, 미국에선 '로버트 가다드'라는 아기가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