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굽은 철사를 불에 가까이 댔을 때 펴진다면 이는 일종의 형상기억합금이라 할 수 있다.달
나라
에 거대한 접시모양의 안테나를 가지고 가려할 때, 운반하기 쉽게 접어서 싣고 가, 달에 가서 적당한 온도로 가열해 원래의 모양대로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우선정책은 80년대말부터 대두하기 시작한 선진국들의 기술보호주의로 인해 그 허점이 적
나라
하게 드러났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한국이 그들의 경쟁상대로 떠오르자 기술이전을 기피하는 한편 특허공세를 통해 이미 확보한 기술에도 대가를 치르도록 강요했다.뒤늦게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 ...
두발 로봇 드디어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산업용 로봇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나라
는 일본이다. 로봇왕국 일본이 현재 개발중인 신세대 로봇들을 '아사히과학' 최근호가 소개했다.이 가운데 가장 눈길을 그는 로봇은 인간과 같이 두다리로 걷는 직립2각(脚)보행로봇이다. 로봇이 만약 두다리로 서서 걷는다면 영화에서나 가능했던 인조인간이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개 신문사가 1만6천여번의 비행접시 기사를 게재했던 것이다.오늘날 미국 성인의 50%, 우리
나라
성인의 30%가 비행접시는 외계인의 우주선이라고 믿고 있다고 갤럽 조사결과는 밝히고 있다. 정말로 비행접시는 외계로부터 날아오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면, 무엇보다도 UFO, 또는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즐기는' 취미활동으로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씨의 주장. "우주개발이 활발한
나라
일수록 아마추어천문수준은 높기 마련입니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기본장비라 할 수 있는 망원경은 제가 직장에서 연구하고 있는 레이저와 비교해 결코 뒤지지 않는 첨단제품입니다. 렌즈의 ... ...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효과학교교육에 컴퓨터의 활용은 이제 필수적인 요소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우리
나라
도 지난 89년 학교컴퓨터교육이 실시된 이후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있다. 그러나 컴퓨터교육은 학생들을 컴퓨터 전문가로 키우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정에 컴퓨터를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엘리트집단이 있게 마련이다. 고입 무시험제로 인해 15년 전에 그 맥이 끊겼지만 우리
나라
에도 소위 KS(경기고-서울대)로 지칭되는 우수집단이 있었다. 이웃 일본도 도쿄 제1고교에서 '아카몽'(도쿄대학)으로 이어지는 학맥을 통해 오늘날의 기술왕국을 선도하는 핵심인력을 공급받았다.또 영국은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아무리 지도에 대해서 이해가 부족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대동여지도로 말미암아
나라
의 기밀이 누설된다고 그를 잡아 가두지는 않았을 텐데, 어떻게 그런 소문이 퍼지게 되었을까. 정말 그랬다면 그가 만든 지도와 그 목판은 왜 그대로 남겨두었을까. 그 많은 목판을 어떻게 혼자서 파낼 수 ... ...
고립된 과학기술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현실이 답답하기 그지 없다. 당장의 현안에 급급하고 짧은 시야에 매몰되어있는 우리
나라
우리민족으로서는 이러한 점을 하루바삐 인식해야 하겠다. '미래가 있는
나라
' '미래가 있는 민족'으로서 올바른 준비를 지금부터라도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다양한 채색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일찍부터 일본을 비롯해 구미각국, 대양주의 여러 섬
나라
에까지 소개돼 그곳에서 관상용 또는 사냥새로 환영을 받고 있다.30여년 전 미국을 비롯한 우방 11개국에 꿩을 수출한 기록이 있다. 한국의 꿩이 지구 방방곡곡에 퍼져 잘 적응하면서 살고 있는 것이다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